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효율적인 직무스트레스 관리방법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처우 개선책을 마련하고 더 나은 근무환경을 위한 대처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7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데이터 분석은 SPSS (win ver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처리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작업치료사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 중 고유 업무, 행정, 구성원과의 관계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직무 스트레스 전체와 소진 하부영역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r=0.616), 정서(r=0.505), 정신(r=0.509)로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1).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과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고유 업무와 이직 의도(r=0.439)과 구성원과의 관계와 이직 의도(r=0.503)이며, 행정과 이직 의도(r=0.533)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p<.01). 다중회귀분석 결과 작업치료사의 소진에는 행정에 대한 스트레스가(β=0.405, p<.01)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작업치료사의 이직 의도에는 행정에 대한 스트레스가(β=0.309, p<.01)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시킬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 개발, 치료 스케줄의 적절한 관리 및 팀 구성원과의 관계형성 등 합리적인 행정적 관리를 통한 근무여건개선과 작업치료업무의 질 향상 한다면 소진과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occupational fatigue caused by occupational stress relief work, and uses it as a basis for Coping way for finding efficient job stress management measures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77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the field from May 1, 2017 to May 20, 2017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ver 20.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ccupational stressor sub-factors of occupational therapist showed higher stress in the order of work, administration and teamwork. In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ed sub-factors, physical(r=0.616), sentiment(r=0.505) mental(r=0.509, p<.01).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ub-factors of work and turnover intentions(r=0.439), teamwork and turnover intention(r=0.503), administration and turnover intention(r=0.52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tress on the administration (β=0.405, p<.01)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exhaus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the stress on the administration (β=0.309, p<.01)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d working conditions through rational administrative management such as develop related programs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o manage treatment schedules properly and to form relationships with team members, Improving th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tasks is thought to redu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691-0020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