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상 소타자로 작용하는 엘런 올렌스카 - 『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남녀관계

Ellen Olenska as the objet petit 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Edith Wharton’s The Age of Innocence

비교문화연구
약어 : -
2018 vol.53, pp.73 - 102
DOI : 10.21049/ccs.2018.53..73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연구분야 : 문학
Copyright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158 회 열람

이 논문의 목적은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 이론을 토대로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의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의 두 주인공인 뉴랜드 아처Newland Archer)와 엘런 올렌스카(Countess Ellen Olenska)의 관계에서 엘런을 대상 소타자(objet petit a)로 규정하고 두 사람의 사랑의 불가능성을 욕망의 불가능성으로 읽어내는 것이다. 뉴랜드는 1870년대의 뉴욕 상류사회에서 참된 사랑과 참된 감정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에게 엘런은 뉴욕 상류사회의 틈새와 결핍이자 그의 삶의 틈새와 결핍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그 틈새와 결핍을 메울 수 있는 존재, 즉 대상 소타자가 된다. 대상 소타자로서의 엘런은 뉴랜드의 욕망을 작동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뉴랜드는 중요한 순간마다 사회적 규범 속으로 도망침으로써 엘런과의 결합을 지연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한다. 그의 행동은 욕망의 목적이 대상과의 결합이 아니라 욕망의 순환과 재생산이라는 특성을 보여 준다. 뉴랜드가 마지막 장면에서 엘런과의 재회를 포기하는 것은 엘런을 도달할 수 없는 대상으로, 접근 불가능한 대상으로 유지시키고 그녀를 욕망의 대상으로 영원히 붙잡아 두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런 욕망의 특성을 남녀관계의 특성과 연관시켜서 『순수의 시대』를 남녀관계의 본질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어내는 것이다. 주체와 대상 소타자의 관계를 보여주는 뉴랜드와 엘런의 관계는 남성과 여성이 결코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크 라캉, 대상 소타자, 『순수의 시대』, 뉴랜드 아처, 엘런 올렌스카, 남녀관계
Jacques Lacan, objet petit a, The Age of Innocence, Newland Archer, Ellen Olenska, sexual relationship

  • 1. [학술지] 김숙재 / 2006 / 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순수 이데올로기의 메커니즘 / 현대영미소설 / 13 (3) : 17 ~ 3 kci
  • 2. [단행본] Clément, Catherine / 1983 / The Lives and Legends of Jacques Lacan / Columbia UP
  • 3. [단행본] Eide, Marian / 2012 / Collaborative Dubliners: Joyce in Dialogue / Syracuse UP
  • 4. [단행본] Evans, Dylan / 1992 /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 Routledge
  • 5. [단행본] Freud, Sigmund / 1978 / Standard Edition Volume XI / Hogarth
  • 6. [단행본] Gallop, Jane / 1985 / Reading Lacan / Cornell UP
  • 7. [학술지] Hadley, Kathy Miller / 1991 / Ironic Structure and Untold Stories in The Age of Innocence / Studies in the Novel / 23 (2)
  • 8. [단행본] Homer, Sean / 2005 / Jacques Lacan / Routledge
  • 9. [단행본] Lacan, Jacques / 1977 / Desire and the Interpretation of Desire in Hamlet / Yale French Studies : 55 ~
  • 10. [단행본] Lacan, Jacques / 1973 /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 Norton
  • 11. [단행본] Lacan, Jacques / 1966 / Écrits / Editions du Seuil
  • 12. [단행본] Lacan, Jacques / 1977 / Écrits: A Selection / Tavistock
  • 13. [단행본] Lacan, Jacques / 1992 /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1959-60 / Tavistock/ Routledge
  • 14. [단행본] Lacan, Jacques / 1991 / Le transfert, 1960-61 / Seuil
  • 15. [단행본] Lacan, Jacques / 1991 / L’envers de la psychanalyse, 1969-70 / Seuil
  • 16. [단행본] Pöder, Elfriede / 1992 / Women in Search of Literary Space / Gunter Nurr Verlag
  • 17. [단행본] Salecl, Renata / 1996 / gaze and voice as love objects / Duke UP
  • 18. [단행본] Singley, Carol J / 1998 / Edith Wharton: Matters of Mind and Spirit / Cambridge UP
  • 19. [단행본] Wharton, Edith / 1995 / The Age of Innocence / Cambridge UP
  • 20. [학술지] Witherow, Jean / 2003 / A Dialectic of Deception: Edith Wharton's The Age of Innocence / A Journal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Literature; Winnipeg / 36 (3)
  • 21. [인터넷자료] / http://search.proquest.com.ssl.openlink.khu.ac.kr:8080/docview/205371401?p q-origsite=summon
  • 22. [단행본] Zihala, Maryann / 2002 / Edith Wharton’s Old New York Society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 23. [단행본] Zižek, Slavoj / 2007 / The Truth of Žižek / Bloomsbury Academic
  • 24. [단행본] Zižek, Slavoj / 1993 / Looking Awry: An Introduction to Jacques Lacan through Popular Culture / MIT P
  • 25. [학술지] Zižek, Slavoj / 2000 / Melancholy and the Act / Critical Inquiry / 2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