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교육과정정책 실행자로서 교사의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nglish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교육혁신연구
약어 : -
2017 vol.27, no.3, pp.307 - 333
DOI : 10.21024/pnuedi.27.3.201709.307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108 회 열람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교육과정정책 실행자인 교사의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정도를 탐색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정교육과정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C와 D지역의 2015 개정 영어과 선도교원 10명을 대상으로 Payne의 교육과정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작성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배부하여 1차적으로 교사들의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파악하고 이어 초점 그룹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문서는 첫째, 영어과 교과역량 선정의 타당성과 각 역량의 하위요소 간의 연계성 문제, 둘째, 기능 교과인 영어과에 부적합한 내용체계표의 핵심요소와 일반화된 지식 및 내용요소의 학교 급별 구분의 타당성 확보 미흡, 마지막으로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어려운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개선 방안으로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타당성이 확보된 영어과 역량 추출 및 내용체계 제고의 필요성과 교수·학습 및 평가 측면에서는 구체적인 안내와 예시를 제공하여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논의 및 결론: 교육과정의 주 사용자이자 실행자인 교사의 관점에서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정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현장 적합성이 제고된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보다 탄탄한 이론적 근거와 더불어 다양한 수준의 현장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English teachers understand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d discover major issues in order to provide a desirable direction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Method: Ten English teachers answere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esigned to analyze the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n, they participated in an in-depth focus-group interview.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limits to the practical help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vides to English teachers who understand and implement it in their classrooms. Specifically, the four key competencies of English are not appropriately selected and there is not enough of a co-relationship among the sub-elements. Also, the key elements and generalized knowledge of content framework are not a proper fit for the subject of English and its content elements among schools lack validity. Last but not least, the given content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s not specific enough for teachers to make the best use of it. Conclusion: In order to make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more user-friendly and practical,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field research should be thoroughly conducted.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교과역량, 내용체계표, 활동중심 교수·학습, 과정중심 평가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alysis, key competencies, content framework, student activity-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