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0.156.78
18.190.156.78
close menu
KCI 등재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 효과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Hours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 The modulating effect of gender -
김진욱 ( Kim Jinwook ) , 유미선 ( You Misun )
학교사회복지 54권 1-28(28pages)
DOI 10.20993/jSSW.54.1
UCI I410-ECN-0102-2022-000-00066232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포함된 중학생 1,622명을 분석하였다.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 방법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일과 주말 모두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 스포츠 순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게임 및 놀이, 미디어에 여가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평일보다 주말이 더 높았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모형과 남학생 모형에서는 교제활동, 미디어, 게임 및 놀이가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학생 모형에서는 미디어와 교제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와 게임 및 놀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제활동과 스포츠는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즉 미디어, 게임 및 놀이 시간이 증가할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행복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verifica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ime spent by leisure typ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both weekdays and weekends, media, games and play,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spend a lot of time. The female stud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a, games and play, and social activities. Seco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mixed model and male student model, social activities, media, games, and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female student model, it was found that media and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der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time of each leisure type and the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media, games, and play, but not in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as media, games, and play time increased, men’s subjective happ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