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고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자 중 이익과 홍대용의 악률론을 이익의 『성호사설』, 『성호전집』과 홍대용의 『담헌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익은 상수학을 중심으로 율관의 문제를 해석하여 성리학자의 측면을 보이면서도, 기존의 악률론에 대해서는 실용성의 부족함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면서 실학자적인 측면도 보였다. 홍대용은 철저하게 실학자적인 측면에서 악률론을 바라보았으며, 상세한 수학적 계산 방법과 명확하고 간편한 수치를 사용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새로운 율준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양금의 사용을 권장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익과 홍대용의 악률론은 실용성을 강조하고, 기존 악률론에 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면에 있어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도량형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차이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악률론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조선후기, 실학자, 악률론, 이익, 홍대용

참고문헌(11)open

  1. [단행본] 김수현 / 2012 / 조선시대 악률론과 시악화성 / 민속원

  2. [단행본] 남상숙 / 2009 / 악학궤범 악론연구 / 민속원

  3. [단행본] 우실하 / 2004 /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음악 / 소나무출판사

  4. [단행본] 장혜원 / 2007 / 산학서로 보는 조선수학 / 경문사

  5. [학술지] 손태룡 / 1988 / 담헌 홍대용의 음악사상 / 韓國音樂史學報 1

  6. [학술지] 이현정 / 2018 / 湛軒 洪大容의 樂論에 관한 小考- [湛軒書]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문화연구 12

  7. [학술지] 정화순 / 1999 / 범진악과 그 성립배경 / 淸藝論叢 16

  8. [학술지] 조유희 / 2010 / 조선후기 실학자의 신분제 인식과 음악활동 / 한국음악사학보 (45) : 393 ~ 420

  9. [학술지] 조유회 / 2009 /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양악수용 / 국악원논문집 20

  10. [학술지] 조유회 / 2010 / 홍대용과 이규경의 자주적 음악사상 / 국악교육 30 (30) : 131 ~ 146

  11.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종합 DB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