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기초존재론적으로 규정된 “염려”가 사랑과 다르지 않으며, 사랑 또한 기초존재론적으로 규정될 때 더 깊고 넓게 이해될 수 있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하이데거의 염려 개념에 대한 빈스방거의 비판을 들여다본다. 빈스방거는 하이데거의 염려가 결국 개별화된 자기존재에 에 국한되며, 본래성 획득 과정에서 사랑이 갖는 중요성을 놓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현존재의 본질은 염려가 아니라 사랑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입장에서 보면 빈스방거의 주장은 염려 개념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며, 또다시 “존재망각”에 빠진 결과이다. 이어서 3장에서는 빈스방거에 이어 현존재분석을 시도한 보스의 대표적 치료 사례를 통해 사랑의 현상에 대한 현존재분석적 이해를 살펴본다. 보스에 따르면, 상대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관계가능성이 드러날 때 현존재는 사랑을 느낀다. 여기서 ‘새로운 관계가능성’이란 하이데거거 말한 본래적 가능성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염려와 “존재이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기초존재론적으로 규정된 염려가 왜 곧 사랑이며, 사랑에 대한 기초존재론적 규정이 왜 더 깊고 넓은지를 규명한다. 기본적으로 염려는 그 규정에서부터 자기 자신과 세계, 그리고 세계 안의 존재자들과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래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세계-내-존재로서 이미 항상 관계 안에 있는 자신을 그 관계들과 함께 염려해야 한다. 사랑은 이러한 본래적 관계 안에서 가능하며, 이러한 사랑의 본질은 염려에 기반할 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키워드

현존재, 현존재분석, 염려, 사랑, 존재이해

참고문헌(24)open

  1. [학술지] 권순홍 / 2002 / 하이데거와 타인의 문제 / 철학논총 3 (29) : 45 ~ 94

  2. [학술지] 김재철 / 2012 / L. 빈스방거의 현존재분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철학연구 (46) : 241 ~ 275

  3. [학술지] 노성숙 / 2011 / 비극적 삶에 대한 현존재분석과 철학상담 ― 엘렌 베스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철학논집 26 : 59 ~ 92

  4. [학술지] 노성숙 / 2013 / 여성내담자중심치료를 위한 철학상담적 인간이해 -정신분열증 여성환자 엘렌 베스트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철학 20 : 143 ~ 180

  5. [학술지] 박서현 / 2011 / 하이데거에 있어서 ‘죽음’의 의의 / 철학 (109) : 177 ~ 202

  6. [학술지] 박일태 / 2018 / 현존재의 자기근거로서 세계와 타인 / 현대유럽철학연구 (51) : 153 ~ 183

  7. [단행본] 박찬국 / 2014 /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 그린 비

  8. [학술지] 박현정 / 2008 / 하이데거 초기 사유에서 기분(Stimmung)의 의미 / 현대유럽철학연구 (17) : 95 ~ 118

  9. [단행본] 소광희 / 2002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의 / 문예출판사

  10. [학술지] 이진오 / 2010 / 빈스방거, 보스, 프랑클의 정신의학과 현존재분석 / 철학 실천과상담 1

  11. [학술지] 진교훈 / 2000 / 메다르 보스에게서의 현존재 분석의 의미 / 철학과 현상학 연구 15

  12. [학술지] 진교훈 / 2007 / 빈스방거의 인간이해: 현존재분석을 중심으로 / 서강인문논총 22

  13. [학술지] 피터 하 / 2002 / 하이데거 철학에 있어서의 “염려”(Sorge)와 윤리학의 가능근거 / 현상학과 현대철학 (19) : 165 ~ 191

  14. [학술지] 하피터 / 2016 / 하이데거의 개별화된 자기성 개념: 현존재의 개별성과 짐멜의 질적 개인주의에 관한 고찰 / 현상학과 현대철학 (71) : 89 ~ 113

  15. [단행본] Binswanger, L. / 1964 / Grundformen und Erkenntnis menschlichen Daseins / Ernst Reinhardt Verlag

  16. [단행본] Boss, M. / 1963 / Psychoanalysis and Daseinsanalysis / Basic Books, Inc.

  17. [단행본] Boss, M. / 2003 / 정신분석과 현존재분석 / 하나의학사

  18. [단행본] Frie, R. / 1997 /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in Modern Philosophy and Psychoanalysis: A Study of Sartre, Binswanger, Lacan, and Habermas /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 [단행본] Gabbard, Glen O. / 2007 / 장기 역동정신치료의 이해 / 학지사

  20. [단행본] Heidegger, M. / 1967 / Sein und Zeit / Max Niemeyer Verlag

  21. [단행본] Heidegger, M. / 1995 / 존재와 시간 / 경문사

  22. [단행본] Heidegger, M. / 2010 / 존재와 시간 / 까치

  23. [단행본] Heidegger, M. / 1994 / Zollikoner Seminare / Vittorio Klostermann

  24. [단행본] Heidegger, M. / 2016 / 졸리콘 세미나 / 롤링 스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