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문학 상상력 신장을 위한 동화 지도 방법 연구

A Study on Fairy Tale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Literary Imagination

한국초등교육
약어 : -
2010 vol.21, no.2, pp.149 - 168
DOI : 10.20972/kjee.21.2.201010.149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19 회 열람

오늘날의 문학 상상력 교육이 학습독자가 텍스트를 얼마나 이해하고 자신의 것으로 하였는지는 고려하지 않은 채 표현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텍스트에 대한 수용을 전제로 한다할지라도 이해와 감상 중 어느 한 가지에 치우쳐 진행되고 있기에 본고에서는 이해와 감상을 아우르는 텍스트 수용 중심의 문학 상상력 신장을 위한 동화 지도 방법을 구안하고자 한다. 문학상상력의 세 가지 층위는 인식적 상상력, 조응적 상상력, 창조적 상상력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동화는 서사성, 빈자리, 환성성과 간결한 서술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초등 학습독자의문학 상상력 신장을 위한 교육에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문학 상상력 신장을 위한 동화 지도의 원리로 의미 읽기와 공감적 읽기, 맥락적 읽기를 제안한다. 의미 읽기는 작품의 이해와 관련되며 공감적 읽기는 작품에 대한 정서적 공감에 관여하는 원리이다. 그리고 둘 사이를 교류하며 서로의 균형을 맞추는 원리는 맥락적 읽기가 있다. 이들 원리는 인식적․조응적 문학 상상력과 대응 관계를 이루는데 여기에 창조적 문학 상상력은 의미 읽기와 공감적 읽기의 원리에 창조적 속성을 결합하여 해석의 확장 원리와 공감적 비판의 원리로 확대된다. 위의 원리들을 토대로 문학 상상력 신장을 위한 동화 지도의 방법을 작품 안에 머무르기․작품과 나를 연결하기․작품을 나의 세계로 끌어오기로 설정하였으며 Ⅲ장에서 위의 방법에 대한 세부 전략들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design a fairy tale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literary imagination centering on text reception that covers bot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As the principles of fairy tale teaching for enhancing literary imagination, we suggested meaning reading, sympathetic reading, and contextual reading. Meaning reading 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a work, and sympathetic reading is involved in emotional sympathy with a work. In addition, contextual reading is maintaining balance between the two through exchange between them. These principles are in a correspondent relation with the literary imagination of awareness and that of world ordering. Here, the literary imagination of world making is expanded to the principles of extended interpretation and sympathetic criticism through integrating creative properties into the principles of meaning reading and sympathetic reading.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principles, we formulated fairy tale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literary imagination, which are remaining in a work, connecting between a work and me, and drawing a work into my world.

Literary Imagination(문학 상상력), Fairy Tale Teaching(동화 지도), Imagination of Awareness(인식적 상상력), Imagination of World Ordering(조응적 상상력), Imagination of World Making(창조적 상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