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적 시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실태와 욕구를 파악하여 필요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연구원 제주사회복지연구센터에서 실시한 「시청각중복장애인 실태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설문조사에 참여한 후천적 시청각장애인 114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청각장애인 중 60세 이상의 노인 비율이 92.8%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나이가 들수록 의사전달에 더 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당수의 시청각장애인은 배우고 싶은 의사소통방법이 없다고 응답하였는데 그 이유로 나이와 장애를 들어 배울 수 없다는 생각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청각장애인은 문자이해를 위해 한글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주로 공공 및 민간서비스 기관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 있는 정보를 확보하는 정도의 면에서 시청각장애인 3명 중 1명은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는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접근성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시청각장애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의사소통 및 정보접근을 위한 보조기기 관련 지원이며, 마지막으로, 시청각장애인 지원센터를 통한 전문적 돌봄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시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과 정보접근의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키워드

시청각장애, 시청각장애인, 의사소통, 정보접근, 시청각장애인지원센터

참고문헌(23)open

  1. [단행본] Beukelman, D. R. / 2007 / Augmenta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Adults with Acute or Chronic Medical Conditions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1 ~ 16

  2. [학술지] 채수정 / 2020 / 중도 비구어장애인을 위한 AAC 어휘 및 그림상징 개발: 인권, 피해, 지역사회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3 (2) : 119 ~ 140

  3. [학술지] 최민식 / 2019 / 고등 및 전공과 중도장애 학부모의 학교기반 진로·직업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 (1) : 165 ~ 192

  4. [인터넷자료] Dyke, P. / A Clear View : Identifying Australians Who Live with Deafblindness and Dual Sensory Loss

  5. [학술대회] 후쿠시마 사토시 / 2007 / 일본의 시청각장애인(시각·청각 중복장애인)의 현황 / 시청각중복장애인 교육과 재활 국제세미나 자료집 : 15 ~ 22

  6. [학술지] Hersh, M. / 2013 / Deafblind people, communication, independence, and isolation /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18 (4) : 446 ~ 463

  7. [학술지] Infurna, F. J. / 2018 / The effect of disability onset across the adult life span /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3 (5) : 755 ~ 766

  8. [학술지] Jaiswal, A. / 2018 /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afblindness or dual sensory loss : A scoping review of global deafblind literature / PloS One 13 (9) : e0203772

  9. [학술지] 조원석 / 2018 / 시청각장애인의 자립적 삶 지원 기반에 대한 연구 : 이동, 의사소통, 정보 ․통신의 욕구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 39 (39) : 57 ~ 80

  10. [학술지] 김철주 / 2021 / 시청각장애인의 『헬렌켈러법』 도입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 / 사회법연구 (43) : 125 ~ 167

  11. [보고서] 김성희 / 2019 /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사전연구

  12. [학술지] 고경희 / 2020 / 농기반 농맹인 자조집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손끝세선교회’를 중심으로- / 신앙과 학문 25 (4) : 161 ~ 209

  13. [보고서]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 2020 / 경기도 시청각장애인 지원체계 구축방안

  14. [학술지] 임난영 / 2004 / 중도장애인의 삶의 변화 과정 / 재활간호학회지 7 (1) : 24 ~ 32

  15. [학술지] Lund, E. M. / 2020 / The COVID-19 pandemic, stress, and trauma in the disability community : A call to action / Rehabilitation Psychology 65 (4) : 313

  16. [학술지] 박관찬 / 2020 / 시청각장애인의 장애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시청각장애인의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과정에 참여한 당사자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학 5 (2) : 183 ~ 205

  17. [학술지] 박중휘 / 2008 / 우리나라 시청각장애인의 장애상황 실태 분석 / 시각장애연구 24 (4) : 43 ~ 61

  18. [단행본] Robertson J. / 2010 / Estimating the number of people with co-occurring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s in the UK / Centre for Disability Research

  19. [학술지] Simcock, P. / 2017 / One of society’s most vulnerable groups? A systematicall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exploring the vulnerability of deafblind people /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5 (3) : 813 ~ 883

  20. [단행본] Smith T. / 1993 / National Symposium on Children and Youth Who Are Deaf-Blind / Teaching Research Publications : 21 ~ 40

  21. [보고서] 서해정 / 2017 / 시청각중복장애인의 욕구 및 실태조사 연구

  22. [학술지] 서해정 / 2018 / 시청각중복장애인(Deaf-Blind)의 일상생활 욕구에 관한 탐색연구 / 장애인복지연구 9 (2) : 97 ~ 127

  23. [학술지] 원영미 / 2021 / 시청각중복장애인의 일상 속 재난에 대한 인지와 경험 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 (2) : 29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