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종단자료를 구축한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상의 종단적 변화궤적이 상이한 잠재계층(latent trajectory class)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9세 이상 성인 남녀 8,900명을 최종 샘플로 선정하여 Growth Mixture Modeling(GMM) 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복지패널에 나타난 우리국민의 우울증상 변화 궤적에는 5개의 하위 집단이 존재한다. 둘째, 전체 사례를 일반가구와 빈곤가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각의 분석에서 성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가구에서는 4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고 빈곤가구에서는 3개의 잠재 우울변화 집단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우울변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우울수준이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전체 연구대상 중에서 약 12.1% 사람들의 우울 수준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우울이 감소하고 있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보여준 두 가지 우울변화패턴(낮은 우울 수준 유지 집단, 우울감소 집단)의 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우울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우울증상의 이질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또한 우울, 연령, 빈곤상태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키워드

우울, CES-D, 잠재성장혼합모형, 빈곤

참고문헌(74)open

  1. [학술지] 공수자 / 2006 /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1 (1) : 21 ~ 40

  2. [학술지] 강석임 / 2013 /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가구주 여부와 빈곤 여부를 중심으로 - / 보건과 사회과학 (33) : 31 ~ 58

  3. [학술지] 권복순 / 2005 / 성인여성장애인의 우울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57 (1) : 169 ~ 192

  4. [학술지] 권태연 / 2011 / 심리사회행동요인을 고려한 우울수준과 음주행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63 (1) : 187 ~ 214

  5. [학술지] 권태연 / 2012 / 사회경제적 지위와 우울수준 변화궤적- 음주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9 (1) : 59 ~ 72

  6. [학술지] 권현수 / 2009 / 노인 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빈곤노인 및 비빈곤노인 집단에 대한 잠재평균분석의 적용 / 한국노년학 29 (4) : 1521 ~ 1538

  7. [학술지] 김경호 / 2008 /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가족과 문화 20 (4) : 95 ~ 116

  8. [학술지] 김미령 / 2005 /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회복지학 57 (1) : 193 ~ 217

  9. [학술지] 김순이 / 2007 /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 기본간호학회지 14 (1) : 103 ~ 109

  10. [학술지] 김진영 / 2010 / Age Groups,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Trajectories of Depression in the US / 보건사회연구 30 (1) : 281 ~ 305

  11. [학술지] 노병일 / 2011 /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적 배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건설직 일용근로자의 우울을 중심으로 - / 한국사회복지학 63 (1) : 113 ~ 135

  12. [학술지] 박선혜 / 2010 / 흡연 청소년과 비흡연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종단적 비교연구 / 청소년복지연구 12 (2) : 75 ~ 94

  13. [학술지] 박영례 / 2009 / 성인여성의 생애주기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 기본간호학회지 16 (3) : 353 ~ 361

  14. [학술지] 박정숙 / 2009 / 신체장애인의 알코올의존과 우울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 한국장애인복지학 (11) : 221 ~ 242

  15. [학술지] 구현영 / 2005 / 청소년의 흡연, 자아존중감, 적개심 및 우울과의 관련성 분석 / 상담학연구 6 (4) : 1231 ~ 1324

  16. [인터넷자료] 보건복지부 /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17. [인터넷자료] 보건복지부 / 201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18. [인터넷자료] 보건복지부 / 정신건강증진 종합대책[안]

  19. [학술지] 성준모 / 2010 / 소득수준별 가구 경제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고찰 / 한국사회복지학 62 (1) : 109 ~ 132

  20. [학술지] 성준모 / 2010 /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관계만족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보건사회연구 30 (2) : 110 ~ 133

  21. [학술지] 성준모 / 2012 /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의 종단적 인과관계 / 한국사회복지학 64 (4) : 285 ~ 310

  22. [학술지] 성준모 / 2013 /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가구 경제 요인: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한 패널 회귀분석 / 사회과학연구 24 (2) : 207 ~ 228

  23. [학술지] 신승철 / 1991 / 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사용: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 신경정신의학 30 (4) : 752 ~ 767

  24. [학술지] 엄화윤 / 2010 /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문제해결능력,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신간호학회지 19 (3) : 318 ~ 328

  25. [학술지] 엄태완 / 2006 /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 한국사회복지학 58 (1) : 59 ~ 86

  26. [학술지] 윤현숙 / 2009 /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한국사회복지학 61 (2) : 303 ~ 324

  27. [학술지] 우채영 / 2010 /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육심리연구 24 (1) : 19 ~ 38

  28. [학술지] 이원진 / 2010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지위 변화와 우울의 관계 / 한국사회복지학 62 (4) : 249 ~ 274

  29. [학술지] 이현주 / 2013 /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 노인복지연구 (61) : 291 ~ 318

  30. [학술지] 이현지 / 2006 / 장애청소년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변인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학연구 13 (5-1) : 1 ~ 24

  31. [학술지] 이현지 / 2005 /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이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상담학연구 6 (1) : 197 ~ 209

  32. [학술지] 전겸구 / 1992 /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Ⅰ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 (1) : 65 ~ 76

  33. [학술지] 전겸구 / 2001 /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1) : 59 ~ 76

  34. [학술지] 전지혜 / 2010 /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 51 ~ 80

  35. [학술지] 전진아 / 2012 / Trajectories of Korean Adults’ Depressive Symptoms and its Associations with Smoking and Drinking: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 Implications for an Integrative Mental Health Care System in Korea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 (3) : 63 ~ 86

  36. [학술지] 전해숙 / 2009 / 노년기 우울궤적의 예측요인: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 한국노년학 29 (4) : 1611 ~ 1628

  37. [학술지] 조맹제 / 1993 /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 한국정신의학 32 (3) : 381 ~ 399

  38. [학술지] 조혜정 / 2012 / 신체장애인의 우울발달궤적 예측요인 :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 장애와 고용 22 (1) : 87 ~ 112

  39. [학술지] 조정아 / 2009 / 선형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변화경향과 개인차에 대한 성별·부모·또래·교사 요인 검증 / 한국청소년연구 20 (3) : 167 ~ 192

  40. [학술지] 조춘범 / 2010 /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 성별간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 / 청소년복지연구 12 (4) : 207 ~ 229

  41. [학술지] 천숙희 / 2008 / 청소년 여학생의 열등감, 우울 및 정신신체 증상의 관계 - 지각된 속박감(perceived entrapment)의 매개효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 (4) : 343 ~ 351

  42. [학술지] 허만세 / 2007 / 지역정신보건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분열병환자의 성별 증상차이와 사회복지실천의 과제: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 검증을 중심으로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12) : 230 ~ 261

  43. [학술지] Andresen, E. M / 1994 /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0 : 77 ~ 84

  44. [학술지] Beck, A. T / 1961 /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 561 ~ 571

  45. [학술지] Boey, K. W / 1999 / Cross-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in Chinese elderly /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 : 608 ~ 617

  46. [학술지] Carpenter, J. S / 1998 / Psychometrics for two short forms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9 : 481 ~ 494

  47. [학술지] Chaiton, M / 2013 / Hetrogeneity of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through adolescence: Predicting outcomes in young adulthood / Journal Canadian Academy Child Adolescent Psychiatry 22 (2) : 96 ~ 105

  48. [학술지] Cole, J. C / 2004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asch-derived CES-D short form / Psychological Assessment 16 : 360 ~ 372

  49. [학술지] Colman, I / 2007 / A longitudinal typology of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over the life course / Biological Psychiatry 62 (11) : 1265 ~ 1271

  50. [학술지] Covinsky, K. E / 2010 /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 age and the development of later-life functional limitations: The long-term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 (3) : 551 ~ 556

  51. [단행본] Dahlstrom, W. G / 1960 / The MMPI Handbook: A Guide to Use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2. [학술지] Dekker, C. M / 2007 /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s from early childhood to late adolescence: Gender differences and adult outcome /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8 (7) : 657 ~ 666

  53. [학술지] Eaton, W / 1981 / Rates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 national sample /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4 (4) : 528 ~ 538

  54. [학술지] Galambos, N. L / 2006 / Depression, self-esteem, and anger in emerging adulthood: Seven-year trajectories / Developmental Psychology 42 (2) : 350 ~ 365

  55. [학술지] Galambos, N. L / 2004 / Gender differences in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adolescence: A 4-year longitudinal study /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 (1) : 16 ~ 25

  56. [학술지] Garber, J / 2002 /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Predictors of change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1) : 79 ~ 95

  57. [학술지] Gellis, Z. D / 2010 / Assessment of a brief CES-D measure for depression in homebound medically ill older adults / Journal of Gerontol Social Work 53 (4) : 289 ~ 303

  58. [학술지] Grzywacz, J. G / 2006 / Evaluating short-form versions of the CES-D for measur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immigrants from Mexico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8 (3) : 404 ~ 424

  59. [학술지] Gunn, J / 2013 / A trajectory-based approach to underst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ersistent depressive symptoms in primary care /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48 : 338 ~ 346

  60. [학술지] Kohout, F. L / 1993 /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 : 179 ~ 193

  61. [학술지] Miech, R. A / 2000 /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over the life cource /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 : 162 ~ 176

  62. [학술지] Muthén, B. O / 2002 / Beyond SEM: General latent variable modeling / Behaviormetrika 29 (1) : 81 ~ 118

  63. [단행본] Muthén, L. K / 2004 / Mplus Version 3.01 / Muthén and Muthén

  64. [학술지] Myers, J. K / 1980 / Use of a self-report symptom scale to detect depression in a community sample /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7 : 1081 ~ 1084

  65. [학술지] Olino, T. M / 2010 /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Descriptions of classes and associations with risk factors / Comprehensive Psychiatry 51 (3) : 224 ~ 235

  66. [학술지] Radloff, L. S / 1977 /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 : 385 ~ 401

  67. [학술지] Raskin, A / 1969 / Replication of factors of psychopathology in interview, ward behaviour, and self-report ratings of hospitalised depressives / Journal Nervous Mental Disorder 148 : 87 ~ 98

  68. [학술지] Santor, D. A / 1997 / Shortening the CES-D to improve its ability to detect cases of depression / Psychological Assessment 9 : 233 ~ 243

  69. [학술지] Shrout, P. E / 1989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reening scales: Effect of reducing scale length /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 (1) : 69 ~ 78

  70. [학술지] Stoolmiller, M / 2005 / The course of depressive symptoms in men from early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Identifying latent trajectories and early predictors /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4 (3) : 331 ~ 345

  71. [학술지] Sutin, A. R / 2013 /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across the adlt life span / JAMA Psychiatry 70 (8) : 803 ~ 811

  72. [학술지] Uher, R / 2010 / Trajectories of change in depression severity during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 Psychological Medicine 40 (8) : 1367 ~ 1377

  73. [보고서] World Health Organization / 2010 / World Health Report,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74. [학술지] Zung, W. W. K / 1965 /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 : 63 ~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