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서정주의 세계 기행시가 가진 의미와 한계를 따져 묻기 위해 쓰였다. 서정주는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경주 탐방과 구직 차 잠시 건너갔던 ‘만주’ 이주를 통해 타지에 대한 여행을 거의 처음 경험했다. 두 장소는 일제 식민주의 정책에 의해 개척되고 재구성된 식민의 땅이었다. 결국 서정주의 첫 타지 여행은 개인의 이국취향이나 낯선 곳에 대한 호기심 충족보다는 일제의 식민주의적 관광 및 이주 정책에 크게 이끌린 행동이었다. 그는 1970년대 후반 신문사의 협조와 국가의 문화주의 시책에 부응하여 세계 각국의 관광명소를 여행한 뒤 산문집과 시집을 발간했다. 이 과정에서 서정주는 영웅과 예술, 여성에 대한 관심을 통해 물질문명(서양)의 몰락과 정신문화(동양)의 부활을 그려냈다. 이 때문에 이 시기의 글에는 한국이 미래 문화의 주역임을 자처하는 전도된 오리엔탈리즘과 서양에 대한 새로운 계몽과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옥시덴탈리즘이 뒤섞이게 되었다. 시인은 이후 세계의 유명 산악에 대해 그곳의 신화와 설화 등과 연관시켜 노래한 시들을 집중적으로 써냈다. 이 시들은 허구적 서사의 성격 상 동서양의 우열 관계가 부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자신의 향토 ‘질마재’를 노래하는 시선과 태도로 그곳들을 신성화하는 약점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냉전체제로 인해 출입이 금지돼 있던 소련과 동유럽, 중국에 대한 기행의 가치를 살폈다. 시인은 사회주의 체제의 폭력성을 기록하면서도,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 등을 ‘질마재’화된 영원성의 세계로 초대하여 신성화하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최종적 결과로 예술에 대한 신성화와 영원성에 대한 맹목적 추종이 서정주의 세계기행이 다다른 최후의 자리였음을 밝혔다.

키워드

서정주, 세계여행, 관광의 시선, 타자성, 점유, 거리화

참고문헌(38)open

  1. [단행본] 서정주 / 1972 / 서정주문학전집 2 / 일지사

  2. [단행본] 서정주 / 1975 / 질마재 신화(神話) / 일지사

  3. [단행본] 서정주 / 1980 / 떠돌며 머흘며 무엇을 보려느뇨 (上)~(下) / 동화출판공사

  4. [단행본] 서정주 / 1980 / 서(⻄)으로 가는 달처럼… / 문학사상사

  5. [단행본] 서정주 / 1988 / 팔할이 바람 / 혜원출판사

  6. [단행본] 서정주 / 1991 / 산시(山詩) / 민음사

  7. [단행본] 서정주 / 1993 / 늙은 떠돌이의 시(詩) / 민음사

  8. [단행본] 서정주 / 1993 / 서정주문학앨법 / 웅진출판

  9. [학술지] 권오헌 / 2016 / 유신체제의 신사임당 기념과 현모양처 만들기 / Journal of korean Culture 35 : 61 ~ 91

  10. [학술지] 김미영 / 2013 / 1960-70년대에 간행된 한국 지식인들의 기행산문 / 외국문학연구 (50) : 9 ~ 34

  11. [단행본] 김우창 / 1977 / 궁핍한 시대의 시인 / 민음사

  12. [단행본] 김윤식 / 1994 / 미당연구 / 민음사 : 119 ~ 126

  13. [학술지] 김윤식 / 1976 / 서정주의 질마재 신화 고(攷)—거울화의 두 양상 / 현대문학 : 248 ~ 259

  14. [단행본] 김학동 / 2005 / 서정주 연구 / 새문사

  15. [학술지] 박연희 / 2015 / 1970년대 서정주의 세계여행론 / 상허학보 43 : 501 ~ 534

  16. [학술지] 박연희 / 2015 / 서정주와 1970년대 영원주의-『西으로 가는 달처럼…』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 (38) : 259 ~ 279

  17. [학술지] 박옥순 / 2017 / 1970년대 서정주의 세계여행과 시적 도정(道程) ─ 『떠돌며 머흘며 무엇을 보려느뇨』와 『西으로 가는 달처럼…』을 중심으로 / 한국문예창작 16 (1) : 69 ~ 103

  18. [학술지] 박옥순 / 2017 / 서정주 시의 아상블라주적 상상력과 ‘무등의 시학’ - 『산시』를 중심으로 - / 한국문학연구 (53) : 321 ~ 354

  19. [학술지] 윤재웅 / 2015 / 서정주 시 정본 확정의 원칙과 과정 / 한국시학연구 (43) : 77 ~ 108

  20. [단행본] 전진성 / 2009 / 기억과 전쟁—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 휴머니스트

  21. [학술지] 정유화 / 2007 / 山詩의 구조와 의미작용: 서정주론 / 우리문학연구 (21) : 421 ~ 449

  22. [학술지] 최현식 / 2014 / 서정주의『만주일기(滿洲日記)』를 읽는 한 방법 / 민족문학사연구 (54) : 369 ~ 402

  23. [단행본] 황종연 / 2008 / 신라의 발견 / 동국대학교출판부 : 13 ~ 51

  24. [단행본] 한석정 / 2016 / 만주 모던—60년대 한국 개발 체제의 기원 / 문학과지성사

  25. [단행본] 리타 펠스키 / 1998 / 근대성과 페미니즘—페미니즘으로 다시 읽는 근대 / 거름

  26. [단행본] 릴라 간디 / 2000 /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 현실문화연구

  27. [단행본] 멀치아 엘리아데 / 1983 / 성(聖)과 속(俗) : 종교의 본질 / 학민사

  28. [단행본] 미르세아 엘리아드 / 1985 / 신화와 현실 / 성균관대출판부

  29. [단행본] 아서 클링호퍼 / 2007 / 지도와 권력 / 알마

  30. [단행본] 에드워드 렐프 / 2005 / 장소와 장소상실 / 논형

  31. [단행본] 존 어리 / 2021 / 관광의 시선 / 소명출판

  32. [단행본] 호미 바바 / 2002 / 문화의 위치—탈식민주의 문화이론 / 소명출판

  33. [단행본] 샤오메이 천 / 2001 / 옥시덴탈리즘 / 강

  34. [단행본] 가네코 아쓰시 / 2009 / 박물관의 정치학 / 논형

  35. [단행본] 기시 도시히코 / 2019 / 비주얼 미디어로 보는 만주국—포스터 ․ 그림엽서 ․ 우표 / 소명출판

  36. [단행본] 아리야마 테루오 / 2014 / 시선의확장—일본 근대 해외관광여행의 탄생 / 선인

  37. [단행본] 아카이 쇼지 / 2022 / 여행의 모더니즘—다이쇼부터 쇼와 전기 일본의 사회문화 변동 / 소명출판

  38. [단행본] 와카바야시 미키오 / 2002 / 지도의 상상력 / 산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