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문학지도의 변화, 종이에서 디지털로

Changes in Literature Maps, to Digital books from Paper Books

한국문학연구
약어 : -
2017 no.55, pp.11 - 38
DOI : 10.20881/skl.2017..55.001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33 회 열람

이 글은 디지털 문학지도 제작을 위한 시론(試論) 성격을 띤다. 이제까지 전국 규모의 종이책 문학지도는 제작된 바 있지만, 디지털 문학지도는 전자문화지도와 달리 우리에게 생소한 분야다. 종이책 문학지도는 지면의 제한, 수정보완의 어려움 때문에 많은 정보를 제공하거나 독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에 반해 디지털 문학지도는 종이책 문학지도의 모든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한 문인의 문학과 삶, 그리고 그의 문학과 관련한 모든 자료를 독자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GIS와 GPS, 그리고 최첨단 디지털 기술의 도움으로 가능하리라 본다. 한 문인의 아카이브(archive)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여 이를 ‘중개(mediation)/재현(reproduction)’함으로써 개인의 디지털 문학지도를 만들고, 이것들을 서로 연계함으로써 디지털 문학지도를 완성하려는 것이다. 이 글에서의 디지털 문학지도는 구상 단계에 불과하지만 현재의 기술이나 자료 축적으로 보아 불가능한 공상은 아니다. 기왕에 종이책 문학지도를 제작한 경험이 있는 기관이나, 현재 각종 문학 행사를 주최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이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하면 생각보다 쉽게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이 모이면 전국 규모의 디지털 문학지도가 완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written as an editorial about the construction of digital literature map. Literature maps for the paper book have been made national wide until now, but the digital literature map is, unlike the electronic cultural map, a new field. The literature map for paper books cannot offer sufficient information to satisfy the academic curiosity of readers because of its limits such as available paper space and difficulties in editing and saving. Digital literature map can, unlike the literature map for paper books, solve those limits and ultimately it has a merit that it can easily provide the reader the information on the author they are interested in, his/her life, and the books they published. This will be possible with the help of GIS, GPS, and advanced digital technology. Using the archive database of a certain author and constructing individual digital literature map through mediation/reprodu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gained from the archive database will lead to complete the digital literature map national wide. This paper discusses the digital literature map only in a conceptual stage, but it can be actualized by the help of current technology and the accumulation of literary materials. The process to complete the digital literature map will be easier if there is a support from a various organization: organizations that have the experience of making literature maps for paper books, or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hosting literature-related events. With all the support from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national wide digital literature map.

문학지도, 디지털 문학지도,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지구 위치파악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 GPS), 디지털 문학도서관
Literature map, Digital literature map,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Global Position System(GPS), Digital literature library

  • 1. [기타] 구모룡 / 2016 / 서부산 낙동강 문학지도 / 국립해양박물관
  • 2. [학술대회] 김금미 / 2012 / 구글지도를 활용한 문학지도 제작 /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205 ~
  • 3. [학술지] 김동윤 / 2014 /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인문학 맥락과 동향 / 인문콘텐츠 (34) : 9 ~ 34 kci
  • 4. [기타] 김병익 / 1983 / 세계명작의 생생한 숨결 추적 / 경향신문
  • 5. [단행본] 김상근 / 2013 / 세계지도의 역사와 한반도의 발견 / 살림
  • 6. [단행본] 김성우 / 1983 / 컬러기행 세계문학전집 / 한국일보사
  • 7. [단행본]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 1996 / 한국문학지도(상․하) / 계몽사
  • 8. [단행본] 사이먼 가필드 / 2015 / 지도 위의 인문학 / 다산초당
  • 9. [기타] 서울특별시 문화예술과 / 2015 / 서울문학지도 / 서울특별시
  • 10. [학술지] 유인혁 / 2017 / 문학의 디지털 지도그리기- 전자문화지도의 작성과 문학의 시각화 - / 한국문학연구 (54) : 87 ~ 54 kci
  • 11. [단행본] 유제상 / 2015 / 디지털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디지털 시대 인문학에 대한 진단과 전망 / 꿈꿀권리
  • 12. [단행본] 유홍준 / 1993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 창작과비평사
  • 13. [단행본] 이지엽 / 2001 / 광주․전남 현대시문학지도 1 / 시와사람사
  • 14. [단행본] 이찬 / 2009 / 현대한국문학의 지도와 성좌들 / 월인
  • 15. [학술지] 장영우 / 2017 / 디지털 인문학과 가상현실 / 한국문학연구 (54) : 11 ~ 54 kci
  • 16. [단행본] 전북문학지도 간행위원회 / 2004 / 땅은 바다를 안고 / 동방미디어
  • 17. [단행본] 통영문화협회 / 2016 / 문학지도(文學之道) / 남해의봄날
  • 18. [기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2017 / 한국문학지도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19. [단행본] Franco Moretti / 2005 / Graphs Maps Trees / Verso
  • 20. [단행본] Georg Lakács / 1978 / The Theory of the Novel / The MIT Press
  • 21. [단행본] Milad Doueithi / 2015 / La Librairie du XXIe siècle / Seu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