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1970년대 여성교양의 발현과 전화(轉化) - 『女聲』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alteration of Women's culture in 1970's

한국문학연구
약어 : -
2013 no.44, pp.47 - 90
DOI : 10.20881/skl.2013..44.002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19 회 열람

본고는 여성단체협의회 기관지 『여성』을 통해 여성이 직접 발신자가 되어 생산해낸 1970년대 전문적 여성교양 담론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젠더화된 여성교양의 전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1970년대 여성교양을 국가 페미니즘의 전사(前史)로서 위치짓는 작업이 될 것이다. 1970년대 『여성』은 젠더화된 여성교양을 비판하거나 전복하는 대신 공존하는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여성』은 가사와 양육이라는 주부교양을 살려서 소비자운동이나 가족법 개정과 같은 전문지식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여성교양은 여성독자들에게 봉사를 통한 공적 영역에의 진출을 촉구한다. 자아의 완성과 성장이라고 하는 Bildung에 가까운 교양을 체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성은 봉사의 젠더화이자 박정희 체제에 대한 협력이라는 한계와 마주하게 된다. ‘역군’ 담론이나 총력안보의 표상이 국가 페미니즘의 전략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것이다. 이는 『여성』이 국가의 호명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여성교양을 재정비하였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coexistence in 1970’s women's organization. By analyzing monthly magazine the YuSeong(the Women's Voice) from Korean National Council of Women, it could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women's culture and set it ahead for state feminism in Korea. In the 1970's, the YuSeong appropriated the gendered culture and made it become specialized knowledge. This new culture urged women to become a volunteer and make proud of country. But this gendered volunteerism was a part of the Park regime. On the one hand, the YuSeong followed the regime to be part of the economic moderniza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ed the negative film of regime and make its voice.

『女聲』, 여성교양, 봉사의 젠더화, 총력안보, 국가 페미니즘, 한국여성단체협의회
the YuSeong(the Women's Voice), Women's Culture, the gendering of the volunteerism, state feminism, the Park reg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