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방언이 가진 생활, 문화, 제도적 특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에서 방언의 위상과 역할을 점검하고, 방언이 문학교육의 내용으로서 자리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쉽지 않은 주제로 문학교육에서 지금까지 거의 논의되지 않은 새로운 담론을 생산하신 선생님의 노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이 연구는 지역 방언을 대상으로 삼아, 방언의 사회문화적 소통에 초점을 두어, 현대문학에서 그것들의 효과와 문학교육적 방안을 밝혔다. 이를 위해 방언의 문학적 효과를 ‘리얼리티의 심화’, ‘토속성의 재현’, ‘기법 층위의 분화’로 나누었고, 방언을 통한 문학교육의 모습을 ‘개인과 공동체 의식 회복’, ‘사물과 세계에 대한 교감 능력 회복’, ‘이데올로기 비판 교육’ 등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전체적으로 선생님의 논의에 공감하면서도 다음의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첫째, 연구의 범위를 지역 방언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한다는 전제에도 불구하고, 논의의 후반부에 가면 계급방언을 전제한 관점들이 다수 나오는데, 이러한 혼란상이 바로잡혔으면 한다. 예를 들어, 방언을 통한 문학교육을 논의하는 부분에서 ‘이데올로기 비판 교육’은 지역 방언을 토대로 한 논의이기보다는 계급방언을 토대로 한 논의라는 생각이 든다. 둘째, 3장에서 문학연구 및 <문학>교과서에서 방언 수용 양상을 점검하면서, 방언의 문학적 효과를 논의했는데, 이러한 효과가 어떤 근거에서 범주화되었는지 분명치 않은 것 같다. 아울러 토속성이 리얼리티의 심화와 따로 분리되어 논의될 수 있는 범주인지도 궁금하다. 그리고 기법 층위의 분화 논의도 ‘미적 효과의 측면’을 밝힌 것인데, 이러한 논의가 어떠한 기법 층위를 어떻게 분화시켰는지가 분명치 않다. 셋째, 방언을 통한 문학교육을 논의하는 부분에서 밝힌 것들, 즉 ‘개인과 공동체 의식 회복’, ‘사물과 세계에 대한 교감 능력 회복’, ‘이데올로기 비판 교육’ 등이 방언을 통한 문학교육의 내용 차원을 밝힌 것인지, 교육의 지향점을 밝힌 것인지,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밝힌 것인지 등이 모호하다. 토론자의 생각으로는 방언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강조한 문학교육은 그러한 맥락의 층위와 효과를 분명히 밝히고, 이것들에 의해 교육의 내용을 구안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한다. 넷째, 방언을 통한 문학교육을 ‘개인과 공동체 의식 회복’의 측면에서 논의한 11쪽 네 번째 문단과 다섯 번째 문단은 방언을 통한 개인의 의식 회복을 밝히고 있지만, 좀 더 분명한 설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논의가 선명하게 이해되지 않는 것 같다. 좀 더 꼼꼼하게 읽고 생산적인 논의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성글게 읽고 토론에 임한 토론자의 게으름을 이해하시고, 혹 오독의 부분이 있었다면 바로잡아 주셨으면 합니다. 쉽지 않는 주제로 고생하신 연구자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키워드

방언 효과, 문학 교육, 문화 교육, 소리의 재현, 방언과 표준어의 이분법

참고문헌(34)open

  1. [학술지] 고형진 / 2004 / 방언의 시적 수용과 미학적 기능 -영랑과 백석과 목월의 시를 중심으로- / 동방학지 (125) : 289 ~ 312

  2. [단행본] 권보드래 / 2002 /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 소명출판 : 136 ~ 144

  3. [학술지] 김미혜 / 2005 / 사회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내용 연구 / 선청어문 33 : 416 ~ 419

  4. [학술지] 김수림 / 2007 / 방언-혼재향(混在鄕, heteropia)의 언어 -백석의 방언과 그 혼돈, 그 비밀- / 어문논집 (55) : 111 ~ 140

  5. [학술지] 김영철 / 2002 / 현대시에 나타난 지방어의 시적 기능 연구 / 우리말글 25 : 99 ~ 123

  6. [학술지] 김용직 / 1996 / 방언과 한국문학-문학작품에 나타난 방언의 문제 / 새국어생활 6

  7. [학술지] 김용현 / 2008 / 글읽기의 효용성에 관하여: 문화간 소통능력을 중심으로 / 독일어문학 16 (4) : 47 ~ 66

  8. [학술지] 김용희 / 2004 / '몸말'의 민족시학과 민족 젠더화의 문제 ― 백석의 경우 ― / 여성문학연구 (12) : 189 ~ 213

  9. [단행본] 문혜윤 / 2008 / 문학어의 근대 / 소명출판 : 82 ~ 114

  10. [학술지] 박기현 / 2003 / 낭만주의 상상력 연구-코울리지와 보들레르 / 불어불문학연구 (56) : 158 ~ 197

  11. [학술대회] 박해광 / 2005 / 문화와 소통:전달모델에 대한 검토 / 한국사회학대회 : 422

  12. [학술지] 심지현 / 2007 / 오영수 초기 소설에 나타난 토속의 양상 / 국어국문학 (145) : 263 ~ 286

  13. [학술지] 윤여탁 / 2004 / 문학교육에서 언어의 문제에 대한 연구-백석시의 언어와 세계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15) : 299 ~ 324

  14. [학술지] 윤영옥 / 2006 / 소라단 가는 길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교육적 가치 / 한국근대문학연구 14 (14) : 195 ~ 227

  15. [학술지] 이근화 / 2008 / 백석 시의 고유명과 조선시의 현장 / 어문논집 57 (57) : 393 ~ 419

  16. [학술지] 이무용 / 2008 / 장소를 통한 문화의 소통:공간의 문화정치와 장소 만들기 / 인문학연구 14

  17. [단행본] 이주행 / 2007 / 한국어 사회 방언과 지역 방언의 이해 / 한국문화사 : 4 ~ 5

  18. [단행본] 이태준 / 2003 / 문장강화 / 깊은샘 : 36

  19. [학술지] 이혜령 / 2005 / 한글운동과 근대어 이데올로기 / 역사비평 (71) : 337 ~ 355

  20. [학술지] 임형택 / 2007 / 소설에서 근대어문의 실현 경로 ―동아시아 보편문어에서 민족어문으로 이행하기까지 / 대동문화연구 12 (58) : 9 ~ 42

  21. [학술지] 장일구 / 2005 / 호남 방언과 서사 문체 ― 사회언어학적 시론 ―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9 (3) : 106 ~ 133

  22. [학술지] 장창영 / 2004 / 시어의 전략적 의미와 미학 - 1930년대 시인들의 방언 사용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53) : 463 ~ 484

  23. [학술지] 장희권 / 2009 / 문화연구와 로컬리티 - 실천과 소통의 지역인문학 모색 / 비교문학 (47) : 171 ~ 203

  24. [학술지] 전봉관 / 2000 / 백석시의 방언과 그 미학적 의미 / 한국학보 98

  25. [학술지] 정구향 / 1995 /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토속의 세계 / 새국어교육 51

  26. [학술지] 조춘희 / 2007 / 박목월 시의 문체론적 고찰-경상도의 가랑잎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47 (47) : 329 ~ 363

  27. [학술지] 조태린 / 2004 / 계급언어, 지역언어로서의 표준어 / 당대비평 26 : 82 ~ 83

  28. [단행본] 최경봉 / 2005 / 우리말의 탄생 / 책과함께 : 84

  29. [학위논문] 황호덕 / 2003 / 한국근대형성기의 문학 배치와 국문 담론

  30. [단행본] 앤더슨, B / 2002 / 상상의 공동체 / 나남출판 : 73 ~ 76

  31. [단행본] 기든스, A / 1991 / 포스트모더니티 / 민영사 : 31 ~ 42

  32. [단행본] 바흐찐, M. / 2005 /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 창작과비평사 : 102

  33. [단행본] 바슐라르, G / 2004 / 물과 꿈 / 문예출판사 : 21

  34. [단행본] 푸안 / 1995 / 공간과 장소 / 대윤 : 16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