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유명인 정보원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최근 빠른 속도로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정신질환인 공황장애에 초점을 두고 지난 7년간 공황장애를 다룬 온라인 뉴스기사를 양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황장애 언론보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정보원은 유명인 환자(84.5%)로, 일반인 환자(5.9%)의 10배 이상 많이 등장하고 있었다. 이어 개인의 건강행위 과정을 설명하는 예방책채택 과정 모형(PAPM)에 근거하여 언론이 공황장애에 대한 기초 정보에서부터 구체적인 치료 방법에 이르기까지 건강정보를 균형 있게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황장애의 발병 원인에 대한 언급(66.6%) 및 증상에 대한 언급(74.6%)은 충실한 반면,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한 언급(55.8%)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정보의 균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도 양상은 환자 정보원 유형(유명인 vs. 일반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일반인 환자 중심의 보도가 유명인 환자 중심의 보도에 비해 공황장애 건강행동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언급하고 있어 보도의 질적 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사 내에서 제시되는 환자의 성별 비중 측면에서 보면 일반인 환자 중심 기사에서는 남성 환자와 여성 환자의 등장 비율이 10배 이상 차이가 나(여성 환자 4.8%, 남성 환자 69.0%) 남성 중심의 성별 편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명인 환자 중심 보도에서는 이러한 격차가 3배 수준으로 줄어(여성 환자 23.6%, 남성 환자 76.4%) 여성이 공황장애를 더 많이 앓고 있는 사회적 현실이 더 적절히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사례 측면에서도 일반인 환자 중심 보도의 경우 공황장애로 인한 사회 부적응이나 자살과 같은 부정적 사례(50.0%)가 긍정적 사례(5.9%)보다 더 많이 언급되는 반면, 유명인 환자 중심 보도의 경우 증상의 완화나 완치와 같은 긍정적 회복 사례(47.0%)가 부정적 사례(10.5%)보다 더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우리 사회에서 공황장애를 다루는 언론의 올바른 보도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고, 정신질환보도에서 유명인 정보원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is steadily increas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online news articles covering panic disorder through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ource was celebrity patient, mentioned 10 times more than other sources such as non-celebrity patients, doctors, and experts. Based on the Precaution Adoption Process Model, which explains the individual"s health behavior process, we have examined whether the news article was delivering balanced health information about panic disorder from basic information to specific treatment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e information was imbalanced- mentioning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was insufficient but the cause and symptom reference was enough. Also, we analyzed wether the news coverage was different by the type of patient source (celebrity vs. non-celebrity). It was found that the non-celebrity related articles covered more diverse information on panic disorder and the quality of the report was higher than celebrity oriented article. However, in terms of the gender bias of the patients presented in the article, male patients appeared 10 times more than female patients in non-celebrity patient related articles. However, in celebrity patient oriented articles, this gender bias narrowed considerably- female patients appeared to be 1/3 of male patients. Also, in terms of recovery cases from the disease, positive case such as symptom relief and cure were reported more frequently than negative cases in celebrity patient oriented article. On the other hand, non-celebrity oriented article showed more cases of negative than positive case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presents the guidelines of the media dealing with panic disorder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positive role of celebrity as information sources in health journalis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3.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