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742.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녀 연령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Children’s age and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in Korea

  • 245

이 논문에서는 자녀 연령 변화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노동패널 1~19차 자료를 이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녀의 연령은 기혼여성의 경력단절과 경력복귀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쳤다. 미취학연령대 자녀가 있으면 경력단절 위험이 높았 고, 특히 출산 직후 만 0세 자녀가 있으면 취업 후 경력단절 확률이 두 배 이상 상승했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에 다시 참여 했지만, 자녀 연령이 만 0세, 1세, 3세일 경우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이 낮아 졌다. 조사기간 동안 출산을 경험한 여성 표본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녀가 만 9세가 되면 여성의 경력복귀 확률이 증가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경력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설계할 때 자녀 연령에 따른 여성의 노동공급 행동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We study the effect of children’s age on their mother’s labor supply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The result from an analysi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shows that children’s age is closely related with their mother’s career interruption and return. A woman’s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increases when she has a child younger than the school-entry age. The existence of a child whose age is less than one raises the hazard rate of career interruption more than twice. When a child is 0, 1, and 3 years old, the mother’s hazard of career return decreases significantly. Once a child’s age becomes 9, the mother’s hazard of career return rises. The findings imply that policy to reduce women’s career interruption and to help their career return should consider changes in women’s labor supply behaviors caused by their children’s ages.

I. 서론

Ⅱ. 자료

Ⅲ. 분석모형

Ⅳ.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