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지도 수업에서 디자인씽킹 방법을 활용하여 이들의 공감능력 향상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소재 D대학의 3학년 놀이지도 수업에서 공감하기, 문제 정의하기, 아이디어내기, 시제품제작하기, 적용하기 과정의 디자인씽킹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K대학의 2학년 놀이지도 수업에서 기존 수업방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을 통제하여 사후검사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 예비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 예비보육교사의 인지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및 인지적 공감 총점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 공감적 각성 및 정서적 공감 총점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이들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설계의 필요성과 디자인씽킹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based play instruction class on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is, design thinking methods of empathize, define, prototype, and test were implemented in a Junior play instruction class of D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province(experimental group) and existing class method was implemented in a Sophomore play instruction class of K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province(comparative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pre and post-test scores using ANCOVA to control influence of pre-test scores of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pathy scores compared to that of teachers i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ognitive empathetic sub-factors, taking viewpoint, imagining and cognitive empathy than that of teachers in comparative group.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emotional sub-factors, empathetic concern, empathetic awakening and emotional empath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of curriculum design for empathetic abili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75-000920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