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Julia Kristeva가 다루는 텍스트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 내러티브를 이해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Kristeva의 이론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그녀의 이론에서 주요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녀가 텍스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관점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Kristeva의 텍스트론과 연관 지어 도출할 수 있는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새로운 적용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유아들을 말하는 주체로서 인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유아 내러티브를 발생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현상텍스트와 발생텍스트라는 두 유형의 조화로운 발현을 통하여 유아의 내러티브가 의미를 생성해나가는 데 초점을 맞추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하여, Kristeva의 관점을 토대로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새롭고 폭넓은 이해는 물론, 기존의 언어 체계를 벗어나 자유롭게 시적언어를 창출해내고 의미 생성의 과정을 이루어나가는 역량 있는 존재로서 유아를 바라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ulia Kristeva’s approach to texts, ultimately providing a new framework based on that approach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narratives. For this purpose, above all, the study tries to get an understanding of Kristeva’s theory by identifying her thoughts and view of text itself, especially focusing on ideas found in that theory. Based on that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ings that are possible to young children’s narratives provided they are in association with Kristeva’s text theory. First, young children should be as ‘speaking subjectivity’ themselves. Second, young children’s narratives can be viewed and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genotext’. Third, Young children’s narratives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as focusing how those narratives develop a harmony of phenotext and genotext into generating meanings. Through these moves,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helping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narratives in a different, comprehensive way based on Kristeva’s perspective and for viewing young children as those who are competent enough to freely create a poetic language beyond the conventional language system and develop the meaning-making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Kristeva 이론의 이해 : 주요 개념, 텍스트론, 이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Ⅲ. Kristeva 텍스트론을 통해 본 유아 내러티브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75-00166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