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3.228
18.119.133.228
close menu
KCI 등재
비교연구를 통한 질서자유주의 연구 강화 방안
Comparative Perspectives Ensure Ordoliberalism’s Relevance
백훈 ( Hoon Paik )
DOI 10.20436/OEJ.26.1.001
UCI I410-ECN-0102-2023-300-001062081

질서자유주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경제적 이념과 가치에 대한 철학적이고 정치적인 질문들의 사고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질서자유주의는 철학, 정치 및 경제(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PPE)의 이념들을 포함한다. 현재, 이러한 분야들의 연구는 더욱 수렴해 가고 있으며, 현대 사회의 제 문제들을 고찰하기 위한 통합된 연구와 적용의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질서자유주의는 경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존의 정책을 평가하고 답습하는 것을 위한 것이 아니며, 어떠한 경제 목표 자체를 설정하기 위한 공공의 정책 이행의 기준을 조직화하고 향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질서자유주의는 과학 지향적이어야 하며, 규범적 논의를 수용하고, 더욱 개방된 비판과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하여, 질서자유주의는 실존적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에서, 질서자유주의 연구는 보다 비교연구를 강화해야 하며, 특히, 독일과 앵글로-아메리카의 경제제도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비교연구는 질서자유주의의 특성을 영미권 경제제도와 대비시킴으로써, 더욱 그 특징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질서자유주의는 독일 경제제도 연구의 근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과 실제적 연구의 병행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질서자유주의는 국가 경제 현안들과 복잡성의 사회문제들을 해결하는 실용성을 높이게 될 것이다.

Ordoliberalism broadens the scope of economic analysis to include philosophic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type of society we want to live in and the “preferences” and “values” we should give precedence to. By doing so, it accepts the notion of PPE (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As a result of the realization that the tools and approaches from all three disciplines are required to advance on many social problems, we are currently witnessing a reintegration of these disciplines in the shape of a convergent research agenda. The major objective of contemporary ordoliberalism cannot be the development of policies for preconceived economic aims. Ordoliberals must instead think about how to organize and improve the caliber of public discussion on the goals themselves. In order to contribute to a more informed democratic discourse, modern ordoliberals should be scientifically oriented, open to normative arguments, and well-equipped with enough humility to admit their own ignorance. Only then can ordoliberalism become a persistent tradition. There should be more comparative studies that focus on German economic policies for this reason. To highlight the complex features of German economic institutions formed in ordoliberalism, it is crucial to compare them to their Anglo-American counterparts on the relevant themes. German studies must be based on ordoliberalism, and theoretical and applied discourses must coexist. Making the most of ordoliberal practicality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s well as a sophisticated society.

Ⅰ. Introduction
Ⅱ. The Evolution of Ordoliberalism
Ⅲ. Korean Perspective of Ordoliberalism
Ⅳ.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