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60.251
18.116.60.251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현황과 문화선교적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 Mission Documentary Films and the Role of Cultural Mission
강진구 ( Kang Jin Goo )
복음과 선교 39권 13-60(48pages)
DOI 10.20326/KEMS.39.3.13
UCI I410-ECN-0102-2018-200-000695662

20세기까지 진행되어온 극영화 중심의 기독교영화제작은 21세기 들어서면서 한동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 대신 2009년과 2017년 사이에 24편의 기독교다큐멘터리가 극장에서 개봉되는 예사롭지 않은 현상이 일어났다. 이 가운데 15편은 선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선교사들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그들의 선교사역이 스크린 위로 펼쳐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부흥 원인에는 2009년 개봉되어 전 국민의 관심을 끌었던 <워낭소리>와 2010년 <울지마 톤즈>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의 인기가 크게 한 몫 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울러 물질문명과 경쟁사회에 찌든 현대인들이 먼 나라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봉사하며 헌신하는 순수함과 열정을 지닌 인간에 대한 동경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교다큐멘터리 영화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해외선교 현장 중심의 다큐멘터리 영화들로써 가난과 때로는 원시적 선교현장 속에서 사역하는 선교사들의 헌신과 고통을 묘사하고 있다. 둘째, 선교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기독교 관객들에게는 자신의 신앙을 성찰하게 하고 아울러 선교적 소명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선교사로 헌신하기까지 외부에는 좀처럼 알려지지 않은 선교사 가족 안에서의 내적 갈등을 표현하는 다큐멘터리가 있다. 이것은 선교다큐멘터리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선교다큐멘터리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감동적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교회를 불신하는 세상을 향해 교회의 신뢰도를 회복하고, 교회를 향해서는 선교에 관심을 갖고 선교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회는 디지털 시대에 선교다큐멘터리를 통하여 영상 세대인 신세대와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일도 필요하다. 따라서 교회는 적극적인 관람을 통해 선교다큐멘터리가 제작 상영될 수 있도록 선교다큐멘터리 영화를 소비하는 운동을 벌이면서 교회 안에서 영상을 활용하는 가운데 선교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선교다큐멘터리가 하나의 대중화된 장르로서 정착될 때 한국 교회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계도 기독교 다큐멘터리 영화의 영향으로 새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 및 개봉 상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한국교회가 신세대와 소통하며 기독교문화를 전개시키고 선교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A new era of Christian documentary films has begun in South Korea. As many as 24 Christian documentary films were released in theaters between 2009 and 2017. Among them, there are 15 films directly related to missionary work. All of these films show the missionaries as the main characters. The reason for the revival of such films seems to have played a huge role in the popularity of documentaries such as < Old Partner(워낭소리) >(2008) and < Dont cry for me sudan(울지마 톤즈) >(2010). In addition, modern people of material civilization saw the purity and passion of the missionaries devoted to poor people in the faraway lands. There are three types of missionary documentaries. The first is a missionary film centered on missionary work in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and is devoted to the dedication and distress of missionaries, who live in poverty or sometimes even primitive landscapes. The second is mission history documentary film, which reflects Christians beliefs and helps them learn about God`s call for missionary work. Third, there is a missionary documentary film about internal conflicts that occur inside the family until becoming a missionary. This shows that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is developing in various ways. But most of all,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can act as a missionary to the people who watched the films and promote missionary work. And it can help restore the credibility of the Church towards a world of disbelief. Because the realistic and touching film has the power to move the mind. Therefore, the church needs to actively encourage Christians to watch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and assist in producing the films. Korean church needs to know that digital generations communicate via video. If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becomes a popular genre, it will als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Korean cinema as well as the Korean church. The paper analyze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Korean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that began in earnest in the 21st century. It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church communicates with New Generation and performing culture missionary work.

I . 서론
II. 영화선교와 한국 기독교영화의 전개
III.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등장 배경
Ⅳ.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전개와 분류
V.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의미와 문화선교적 역할
Ⅵ.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과제와 대안
Ⅶ. 추후 연구과제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