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듀이(J. Dewey)의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롤즈(J. Rawls)의 ‘반성적 평형’(reflective equilibrium)을 재해석함으로써 그것이 듀이가 말한 ‘도덕적 숙고’(moral deliberation)의 구체적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듀이는 도덕적 숙고가 도덕적 문제 해결의 핵심적 요소라고 주장했다. 도덕적 숙고에 대한 듀이의 입장은 우리의 도덕적 경험의 본성에 대한 섬세한 해명에 근거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분명 현실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듀이가 말한 도덕적 숙고의 구체적 적용 방식이 원리적으로 무한하다는 측면에서, 도덕적 숙고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도덕적 탐구 방법을 드러내는 것은 필요하고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필자는 롤즈가 제시한 반성적 평형이 도덕적 숙고를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핵심적인 방법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듀이의 입장에 근거한 반성적 평형의 재해석은 다음의 세 가지 차원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첫째, 반성적 평형은 ‘오류주의 겸반회의주의’(fallibilism cum antiskepticism)의 입장을 전제한다. 반성적 평형은 그것의 축이 되는 도덕판단이나 도덕원리 등에 대해서 ‘확실성’을 부여하지 않으면서도 우리의 도덕적 경험이 성장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둘째, 반성적 평형은 보편주의와 특수주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그것은 경험의 요약으로서의 도덕원리의 유용성을 간과하지 않으면서도 구체적인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도덕적 탐구를 지향한다. 셋째, 반성적 평형은 자연주의적 탐구를 지향한다. 반성적 평형은 배경이론을 평형의 한 축으로 삼는다는 측면에서 자연과학 · 사회과학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도덕적 탐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Rawls’ conception of ‘reflective equilibrium’ from Dewey’s pragmatic point of view, so as to show that it can work as one of the crucial phases of ‘moral deliberation’. Dewey envisioned moral deliberation as a key element in solving moral problems, and his view can certainly contribute to explai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moral experience in naturalistic terms. However, since the way of applying moral deliberation to concrete moral cases is in principle infinite, it seems necessary and useful to show how moral deliberation can be circumscribed in more concrete terms. I propose that reflective equilibrium can work as one of the key notions to do this job. In this respect, this paper attempts to re-interpret reflective equilibrium from Dewey’s naturalistic perspective, and this will be done in the following three respects. First, reflective equilibrium assumes ‘fallibilism cum antiskepticism’. Reflective equilibrium presupposes that our moral position can grow without bringing about "certainty" in moral judgments and moral principles underlying them. Second, reflective equilibrium works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That is to say, it aims at a moral inquiry that reflects the particularity of the specific situation without overlooking the usefulness of a moral principle as a summary of experience in the past. Third, reflective equilibrium aims at naturalistic investigation. Reflective equilibrium will work as a primary method of moral inquiry which actively reflect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natural and social sciences, in that it requires a background theory as its axis.

목차

논문개요
1. 서론
2. 오류주의 겸 반회의주의
3. 보편주의와 특수주의 사이
4. 배경이론과 자연주의적 탐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10-000472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