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35.45
52.15.35.45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 주거복지 대안으로서 공유주택 선호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eference for Shared Housing as an Alternative to College Student Housing Welfare: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이정란 ( Lee Jeong-ran ) , 김고은 ( Kim Go-eun )
DOI 10.19172/KREAA.26.3.5
UCI I410-ECN-0102-2021-300-001379298

지금까지 한국의 주거정책은 다인 가구를 위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반면, 청년 1인 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비아파트 중 소형주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주거환경이 열악하여 청년주거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대학생은 경제적으로 취약하지만 주거복지 측면에서 소외받아온 계층으로, 그들의 주거문제는 생애 과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등 사회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을 통해 공유주택이 청년주거복지의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실질적인 추정과 시장 세분화를 위해 컨조인트 분석 및 군집 분석을 활용하였다. 설문결과 응답자 중 35.7%가 공유주택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첫 번째는 주거비 절감을 위해 공유주택을 대안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있는 저연령 저소득 집단이며, 두 번째는 주거의 사회성과 안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양호한 공유주택을 원하는 집단이었다. 분석결과는 공유주택이 주거 비용, 안전, 사회교류 측면에서 대학생들의 주거복지 대안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존 다인 가구용 주택을 공유주택으로 리모델링 하여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택재고관리를 통한 도시재생 수단으로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s housing policy has been focused on apartments for multi-person households, while smaller non-apartment housings, where younger one-person households mainly live, have suffered from inferior conditions. College students while being economically vulnerable have also been sidelined in terms of housing welfare, and their housing problems are leading to negative perceptions of important life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shared housing could become a solution for young adult housing welfare based on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joi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used for realistic estimation and market segmentation, and the result showed that 35.7% of respondents had a preference for shared housing. These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was the younger low-income group who would choose shared housing to reduce housing costs, and the second was the group that valued the social environment and safety aspects of hous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hared housing had the potential for providing college students with an alternative with respect to housing costs, safety, and social exchange. In addition, remodeling existing housing for multi-person households as shared housing would contribute toward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management of existing housing stock.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Data source and measurement
Ⅳ. Factors of housing problem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V. College students’ preference for shared housing
Ⅵ.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