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고대 중국 윤리학의 성격과 양상 연구- 義理와 功利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ancient Chinese ethics and its development

동양철학
약어 : -
2014 no.41, pp.57 - 79
DOI : 10.19065/japk..41.201407.57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122 회 열람

이 글은 고대 중국 윤리학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전개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시도로 구성되었다. 옳음과 이로움은 각각 다른 지향과 가치를 지니고 있고, 도덕적으로 상반되게 표현된다. 옳음의 추구는 사회의 유지와 규제를 위한 것이고, 이로움의 추구는 개인 또는 사회의 행복과 만족을 위한 것이다. 규제와 통제가 결과적으로는 사회 전체의 행복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변호도 가능할 것이고, 개인 또는 사회의 이익이 결과적으로 사회를 유지하는 토대가 된다는 변론도 가능할 것이다. 이 두 가지는 상반되는 도덕적 가치를 지녔지만 인간사회의 유지와 행복을 위해 서로 조절되고 보완되어야 하는 가치들이다. 의義는 옳음, 정의의 의미이므로 반대 개념은 그름과 비정의가 된다. 곧 옳고 그름, 정의로움과 정의롭지 않음이 짝개념인 것이다. 리利는 이로움, 이익의 뜻이므로 반대 개념은 해로움과 해악이 될 것이다. 의義와 리利는 반대 개념이 아니라 전혀 차원이 다른 가치를 지닌 개념이다. 결코 정의의 반대 개념이 이익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윤리는 윤리학설이 태동한 때로부터 전혀 다른 개념을 반대 개념으로 설정하여 정의롭지 않으면 이롭거나, 이롭지 않으면 정의로운 학적 체계를 만들어 왔다. 이것이 결국은 옳고 그름, 정의와 비정의에 대한 철학적 논의나, 이익과 해악에 대한 철학적 해석의 방면으로 나아가지 않고, 이로움을 추구하지 않는 정의로운 인간을 훌륭한 인간으로 설정하여 성인론의 방면으로 전개하는 기조를 이루게 하였다. 중국적 윤리학은 도덕행위의 주체를 이기성利己性을 본질로 하는 독립개체가 아니라,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장유長幼․붕우朋友라는 인간관계를 전제로 한 관계적 개체로 본다는 점에서 서구 윤리학, 특히 공리주의적 윤리학과는 구분된다. 중국에서는 유가 내의 여러 학파를 포함하여 법가, 묵가 등 거의 전 영역의 학문이 관계성을 전제로 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군신 관계와 가족 관계를 충忠과 효孝, 공公과 사私의 갈등으로 규정하고 효孝와 사私에 대하여 충忠과 공公의 우선성을 주장한 것이 법가이며, 이에 반해 두 관계가 현상적 차원에서는 갈등의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이념적 차원에서는 조화로운 관계라고 보고, 가족 관계에서 보이는 친애와 순종의 자연스런 정감에 의해 두 관계를 통합하려 한 것이 공자와 맹자이다. 순자가 꿈꾼 사회도 군주를 정점으로 하는, 관계들의 연결망인 것이다. 이처럼 중국의 윤리는 개인에게서가 아니라 집단에서 나온다.

This paper is an essay on the nature of the ancient Chinese ethics and its development. The rightness and the benefits each has different orientations and values​​, and expressed as morally different and distinct concepts. The pursuit of rightness has purpose on maintaining the social community. The pursuit of benefits has purpose on the happiness of society and satisfaction of the individual. These two conflicting moral values must be supplemented by each other values for the maintenance of human society. The Yi(義) means rightness and justice. The opposite concepts are unfairness and injustice. The Li(利) means benefit and profit, so the opposite concepts are harm and damage. The Yi(義) and the Li(利) is not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concepts of the value in another dimension. The opposite of justice can not be benefit and profit. But the ancient Chinese ethicists established the academic system that if not justice is profit, if not profit is justice from the beginning of discussing the morality. Therewith, the ancient Chinese ethics didn't have philosophical discussions and interpretations between rightness and unfairness, justice and injustice. On the other hand, it were led to the keynote that righteous human who does not pursue profit set a great human being.

도덕, 의리, 공리, 선악, 옳음, 이로움, 정의, 관계
the ancient Chinese ethics, justice, injustice, utility, rightness, unfairness, morality, the good and evil

  • 1. [기타] / 禮記
  • 2. [기타] / 論語
  • 3. [기타] / 孟子
  • 4. [기타] / 墨子
  • 5. [기타] / 左傳
  • 6. [기타] / 荀子
  • 7. [기타] / 國語
  • 8. [기타] / 說文解字注
  • 9. [기타] / 大戴禮記
  • 10. [기타] / 朱子語類
  • 11. [단행본] Shelly Kagan / 1989 / The Limits of Morality / Clarendon Press
  • 12. [단행본] 金勝惠 / 1990 / 原始儒敎 / 민음사
  • 13. [학위논문] 孫英植 / 1993 / 宋代 新儒學에서 哲學的 爭點의 연구 : 道德 形而上學의 原則性·實踐性·現實性 問題를 중심으로
  • 14. [단행본] 梁漱溟 / 2005 / 동서 문화와 철학 / 솔출판사
  • 15. [단행본] 王處輝 / 1992 / 中國社會思想史 / 까치
  • 16. [단행본] 陸德明 / 1984 / 經典釋文 / 上海古籍出版社
  • 17. [단행본] 陰法魯 / 1990 / 中國古代文化史 1 / 北京大學出版社
  • 18. [단행본] 이강수 / 1989 / 도가사상의 연구 / 고려대출판부
  • 19. [학술지] 李俸珪 / 1993 / 규범의 근거로서 혈연적 연대와 신분의 구분에 대한 古代儒家의 인식 / 泰東古典硏究 / 10
  • 20. [단행본] 李宗桂 / 1991 / 중국문화개론 / 동문선
  • 21. [학술지] 張東宇 / 1995 / 朱子學的 패러다임의 반성과 해체과정으로서의 실학 / 泰東古典硏究 / 12
  • 22. [단행본] 周桂鈿 / 1993 / 강좌 중국철학 / 예문서원
  • 23. [단행본] 정명수 / 1997 / 훈고학의 이해 / 동과서
  • 24. [단행본] 陳來 / 1987 / 朱熹哲學硏究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25. [단행본] 한국동양철학회 / 1982 / 東洋哲學의 本體論과 人性論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6. [학위논문] 한형조 / 1993 / 朱熹에서 정약용에로의 철학적 사유의 전환
  • 27. [단행본] 許進雄 / 1991 / 중국고대사회 / 동문선
  • 28. [단행본] 胡適 / 1983 / 中國古代哲學史 / 대한교과서주
  • 29. [학위논문] 황병기 / 1995 / 茶山의 존재론
  • 30. [단행본] 黃俊傑 / 天道與人道 / 聯經出版事業公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