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조호익 『易象說』의 해석틀 분석(Ⅰ)- 卦氣와 卦變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systematic formation of Cho, Haoyi's 『YIXIANGSHUO』 ZhouYi’ theory(Ⅰ): Focusing on Guaqi and Guabian

동양철학
약어 : -
2013 no.40, pp.115 - 143
DOI : 10.19065/japk..40.201312.115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98 회 열람

조호익 『역상설』 해석틀 분석 연구는 조선 전기 역학의 『주역』해석방법과 해석틀을 이해하는 큰 연구는 한 대목으로서, 본고는 괘기와 괘변 관련 해석틀을 중심으로 『역상설』의 해석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역상설』은 송명시기 정주학파의 兼治象義의 역학관을 계승하면서도 한당시기 취상적 해석틀에 기초해서 『주역』경전을 해석했다. 그는 “괘효의 본뜻은 괘효의 상을 떠나 있지 않고”, “취상에는 고정불변의 규칙이 없다”라는 경전해석의 방법론을 천명했다. ‘상으로써 의를 포괄’하려는 그의 관점은 이천과 주희의 관점과 거리가 있다. 구체적인 해석틀, 즉 괘기설과 괘변설 관련 해석틀 역시 이들과 확연히 구분된다. 그는 괘효사 해석에서 주진, 호병문, 호일계의 상수역학적 관점, 특히 취상적 해석틀을 적극 인용했고, 나아가 상으로 의를 포괄하면서 새롭운 해석틀을 전개하기도 한다. ‘象抱義’의 방법론 안에서 십이소식괘설, 납갑설 등의 괘기적 해석틀과 승강, 호체, 비복, 반체, 사체 등의 괘변적 해석틀로 『주역』경전의 문구를 해석했다. 하지만 『역상설』에는 괘기․괘변의 취상적 해석틀 이외에도 효위․효변과 기타 해석틀에 취의적 경향이 존재한다. 본고에 이어지는 “조호익 『易象說』의 해석틀 분석(Ⅱ) -爻位․爻變의 해석틀과 기타 해석틀을 중심으로”에서는 취상적 해석틀과 취의적 해석틀 분석을 통해 『역상설』의 가치와 의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本稿是研究曹好益『易象说』的解译体例的前半部分(以卦气和卦变为主)。其研究目的在于通过分析曹好益『易象说』的解译体例而提示他易学的特点, 并显示出朝鲜前期周易解释的学风。他在宋明代程朱学派易学的基础上展开了朝鲜易学的固有特点, 即兼治象数和义理的易学观。『易象说』基本上采用汉唐宋明时期象数体例来对[周易]经传进行了解释。它的解易特点可以概括为四各方面。首先, 关于象义关系。卦爻义不能离开卦爻象而存在。其次, 关于取象规则。取象没有固定不变的规则。再次, 取舍前代易学的观点。 他十分推崇朱震, 胡炳文和胡一桂等象数易学家所展开的解经体例, 却不常采用程颐和朱熹的义理性浓厚的解经体例。最后, 关于解译体例的特点。他的解译体例在象抱义的观点上采用前代所有的象数体例, 即以十二消息卦说、纳甲说的卦气说, 升降、互体、飞伏、反体、似体等的卦变说来解释周易经传并展开象数易学的特点。此外爻象、爻变、爻位等同爻有关的解易体例要在“조호익 『易象说』의 해석틀 분석(Ⅱ)”进行分析和探讨。

조호익, 역상설, 해석틀, 괘기설, 괘변설
易象说, 解经体例, 兼治象义, 象数体例, 卦气说, 卦变说

  • 1. [단행본] / 1997 / 韓國經學資料集成, In 易經 3卷 / 成均館大學校 大同文化硏究院
  • 2. [단행본] 紀昀 / 1985 / 四庫全書總目提要 / 上海古籍出版社
  • 3. [단행본] 李學勤 / 2004 / 周易正義, In 十三經注疏 / 北京大學出版社
  • 4. [단행본] 來知德 / 2004 / 周易集注 / 九州出版社
  • 5. [단행본] 朱震 / 1989 / 漢上易傳 / 上海古籍出版社
  • 6. [단행본] 朱熹 / 1992 / 周易本義 / 北京大學出版社
  • 7. [단행본] 呂紹綱 / 1992 / 周易辭傳 / 吉林大學出版社
  • 8. [단행본] 劉玉建 / 1996 / 兩漢象數易學硏究 / 廣西敎育出版社
  • 9. [단행본] 林忠軍 / 1998 / 象數易學發展史 第2卷 / 齊魯書社
  • 10. [단행본] 朱伯崑 / 2005 / 易學哲學史 2卷 / 崑崙出版社
  • 11. [단행본] 陳來 / 2000 / 朱子哲學硏究 / 華東師範大學出版社
  • 12. [단행본] 蔣伯潛 / 1983 / 周易槪論, In 周易槪論 / 上海古籍出版社
  • 13. [학술지] 김인철 / 2005 / 退溪와 芝山의 『周易』 解釋 / 퇴계학과 유교문화 (36) : 5 ~ 36 kci
  • 14. [학술지] 엄연석 / 2001 / 曹好益 易學의 象數學的 방법과 義理學的 목표 / 대동문화연구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