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근대계몽기에 신문․잡지 등의 매체에 의해 문자텍스트화한 시가(詩歌)들은 근대적 계몽성과 매체적 시사성을 함께 수용하고 감당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때 구술적 기반 속에 있던 청각텍스트로서의 시가는 매체에 의한 채록 행위, 독자에 의한 투고 행위를 통해 문자텍스트화하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매체의 성격과 지향에 걸맞게 체질과 체형을 바꿔가면서 새로운 몸을 형성해가게 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문자텍스트화한 시가들은 초기에 기사체의 산문과 함께 수록된다. 기사체와 시가를 하나의 텍스트로 볼 때, 채록이나 투고의 정황이나 경위, 수록 이유를 밝힌 기사의 형태가 있는가 하면, 논설적 맥락 속에 시가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논설의 형태도 보인다. 이때 매체의 지향이나 텍스트의 논조에 맞는 시가들이 취사선택되었으며, 더 적극적으로는 시가 그 자체가 논조에 맞게 변개되거나 개작되었다. 텍스트 내의 기사체는 채록의 정황이나 경위를 통해 해당 시가가 놓여 있던 구술적 기반을 드러내주며, 수록 이유는 시가의 주제와 정서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준다. 또한 시가 내에 적재적소에 배치된 핵심어를 통하여 계몽적 담론을 유포하고, 시가에 함축된 위기의식과 비극적 정서는 계몽적인 미래기획을 부각하기에 효율적이었다. 다시 말하면, 시가를 채록하고 기사를 작성한 기․필자, 혹은 구술적 공간 속에 유포된 곡조(曲調)를 차용하거나 가사(歌詞)를 채록하여 창작 또는 개작한 투고자들은 그 시가가 가진 ‘민심(民心)’과 정서를 계몽적 담론의 질서 속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매체를 주도한 계몽적 지식인들은 구술적 시가텍스트의 효과적인 문자텍스트화 못지않게, 매체에 수록된 시가의 향수에 있어서 구독(購讀)은 물론 낭송(朗誦)과 가창(歌唱), 전창(傳唱)의 가능성 또한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구술적 기반 속에서 공유된 곡조(曲調)를 배후에 가진 채로 문자텍스트화한 시가는 그만큼 손쉽게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훌륭한 매개가 되며, 다시 낭송되고 가창되고 전창됨으로써 또다시 구술적 기반 속으로 용이하게 유포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하나의 풍속으로서 구술적 기반 속에 전승하면서 정서적 파급력을 가진 시가는 계몽적 주체들에게 확실히 매력적인 매개였다. 근대적 매체에 의해 문자텍스트화한 시가들은 그 창작 혹은 개작 과정에서도 기왕의 구술적 전통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지만, 구독(購讀) 과정에서도 그러한 구술적 기반에 밀착함으로써 그 효용성과 파급력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더욱이 그 내용적 정서적 측면에서 근대적 계몽담론을 적극적으로 담지함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순문예적 기능만을 수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매체적 맥락 속에서 기사적 논설적 기능을 함께 수행했던 것이다. 주제어:시가, 구술적 기반, 계몽적 담론, 매체, 문자텍스트, 채록, 투고

키워드

시가, 구술적 기반, 계몽적 담론, 매체, 문자텍스트, 채록, 투고

참고문헌(26)open

  1. [기타] / 대한매일신보 / 대한매일신보

  2. [기타] / 만세보 / 만세보

  3. [기타] / 제국신문 / 제국신문

  4. [기타] / 황성신문 / 황성신문

  5. [단행본] 강명관 / 2000 / 근대계몽기 시가자료집 / 성균관대출판부

  6. [학술지] 김원모 / 2002 / 이종응의 서사록과 셔유견문록해제 / 동양학 (32)

  7. [단행본] 민찬 / 2002 / ‘대한매일신보’의 시가 / 형설출판사

  8. [단행본] 고미숙 / 1998 / 애국계몽기 시운동과 그 근대적 성격, 19세기에서 20세기 초 한국시가사의 구도 / 소명출판

  9. [학술지] 고은지 / 2004 / "천희당시화"에 나타나 애국계몽기 시가인식의 특질과 그 의미 / 한국시가연구 (15) : 315 ~ 354

  10. [학술지] 고은지 / 2001 / 계몽가사의 형성과정과 그 형식적 특성의 의미 / 어문논집 (43)

  11. [학술지] 고은지 / 2007 / 20세기 초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 출현과 그 의미 / 어문논집 (55) : 31 ~ 61

  12. [학술지] 국윤주 / 2007 / [대한매일신보] 소재 흥타령 시조 연구 / 고시가연구 (20) : 27 ~ 63

  13. [단행본] 권오만 / 2002 / 한국 근대시의 출발과 지향 / 국학자료원

  14. [학술지] 길진숙 / 2004 / {독립신문}ㆍ{■일신문}에 수용된 ‘문명/야만’ 담론의 의미 층위 / 국어국문학 (136) : 321 ~ 353

  15. [학술지] 김영민 / 2009 / 근대 작가의 탄생: 근대 매체의 필자 표기 관행과 저작의 권리 / 현대문학의 연구 (39) : 7 ~ 38

  16. [단행본] 김영철 / 2004 / 한국개화기시가연구 / 새문사

  17. [학술지] 민찬 / 2008 /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의 텍스트 변형 사례 / 어문연구 58 : 229 ~ 254

  18. [단행본] 박경수 / 2006 / 단재 신채호의 국시론과 애국시, 한국근대시의 정체성 탐구 / 국학자료원

  19. [단행본] 박애경 / 2008 / 총론-고전시가와 근대성 재론, 한국고전시가의 근대적 변전과정 연구 / 소명출판

  20. [학술지] 박애경 / 2009 / 민충정공 담론과 <혈죽가>류 시가 연구 / 우리어문연구 (34) : 161 ~ 190

  21. [학술지] 신경숙 / 2002 / 18?19세기 가집, 그 중앙의 산물18?19세기 가집, 그 중앙의 산물 / 한국시가연구 11 : 2

  22. [학술지] 신은경 / 1998 / 삼국유사의 삽입시가 연구 / 고전문학연구 (13)

  23. [단행본] 월터 J. 옹 / 1995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문예출판사

  24. [학술지] 윤여탁 / 1997 / 개화기 시가를 통해 본 전통의 문제-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연구 (4)

  25. [단행본] 이형대 / 2003 / 계몽가사의 시대양식미학에 관한 회고적 성찰 in: 고전문학 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하 / 월인

  26. [학술지] 최현식 / 2009 / 근대매체의 탄생과 시 언어의 분화-『대한매일신보』 독자투고시의 경우 / 현대문학의 연구 (39) : 195 ~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