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0.61
3.144.240.61
close menu
KCI 등재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국내 보편적 학습설계(UDL) 중재연구 분석: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Studies: Focusing on UD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mplications to Improve Classroom Instruction
박윤정 ( Park Youn Jung ) , 서효정 ( Seo Hyojeong ) , 이주원 ( Lee Juwon )
DOI 10.19049/JSPED.2022.23.1.12
UCI I410-ECN-0102-2023-300-000501750

[목적]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를 분석하여 실제 교실 수업에서 적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첫째, UDL을 적용한 중재연구 15편을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틀에 따라 하위 8가지로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중재연구 15편을 UDL의 지침 요소를 적용한 틀에 따라 하위 9가지로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UDL을 적용한 중재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통합교육 배치 환경에서 적용되었으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어, 사회, 과학, 미술, 체육 교과에서 UDL을 적용하여 비교적 다양한 교과에서 관련 연구가 이루어졌다.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UDL을 적용한 수업이 다양한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고하였다. 둘째, UDL을 적용한 중재의 교수·학습 특성 분석 결과, 3원리의 차원에서는 참여의 원리, 표현의 원리, 표상의 원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9가지 지침의 차원에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끈기를 돕는 선택 제공, 흥미를 돋우는 다양한 선택 제공, 언어, 수식, 기호의 다양한 선택 제공, 표현과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선택 제공 등의 순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UDL 기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보다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학습자들을 위해 교실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experimental studi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and to provide data for assisting teachers when they use UDL in their classes. [Method] First, a total of 15 intervention studies to which UDL was applied were coded and analyzed into 8 sub-types according to the framework us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econd, 15 intervention studies were analyzed into 9 sub-categories using the framework to which UDL’s guidelines were appli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UDL studies were applied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that the studies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were limited. In addition, studies were conducted across relatively diverse subjects including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science, art, an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using experimental/control group pre-post designs and includ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found the most, and it was seen that UDL-applied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s of various learners. Second, from analy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pplying UDL, the principles of participation, expression, and representatio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the three-principle dimension. Regarding the dimension of the nine guidelines, providing options for sustaining effort and persistence, providing options for recruiting interest, providing options for language,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symbols, and providing options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Conclusion] Focusing on UDL-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are suggested for learners with more diverse educational need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