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214.56
3.143.214.56
close menu
KCI 등재
시각장애성인 여성의 외모 인식 및 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earan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Visually Impaired Adult Women on Happiness
김두영 ( Kim Dooyoung )
DOI 10.19049/JSPED.2019.20.3.02
UCI I410-ECN-0102-2021-000-000275436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성인 여성의 외모 인식 및 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25세 이상의 시각장애성인 여성 394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외모 인식의 하위 유형인 외모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평균 3.210, 외모 관심도의 평균은 3.211로 대체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애주기, 최종 학력, 거주 지역, 결혼 상태에 따라 외모 중요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경제활동, 결혼 상태, 주관적 건강 상태에 따라 외모 관심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외모 만족도의 하위 유형인 얼굴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127, 신체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630으로 시각장애성인 여성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얼굴에 대한 만족도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애주기, 최종 학력, 거주 지역, 결혼 상태, 주관적 건강 상태에 따라 얼굴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최종 학력, 주관적 건강 상태에 따라 신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외모 중요도와 외모 관심도가 보통 혹은 높은 여성에 비해 낮은 여성의 얼굴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성인 여성의 외모 인식 및 외모 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 인식의 하위 요인인 외모 중요도가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 인식의 하위 요인인 외모 관심도와 외모 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얼굴 만족도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성인 여성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appearanc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visually impaired adult women on happiness. [Method] This study analyzed survey data obtained from 394 participants who are over 25-year-old and major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Result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ception on the appearance significance as a subfactor of appearance perception was 3.210 in average and the average of appearance interests was 3.211, all of which showed higher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appearance significance depending on lifecycle, final academic background, residential region and marriage statu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depending on economic activity, marriage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econd, facial satisfaction as a subfactor of appearanc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as 3.127 in average and the mean satisfaction on body was 2.630. This indicated that body satisfaction felt by visually impaired adult women was considerably lower than facial satisf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ial appearance were observed depending on lifecycle, final academic background, residential region, marriage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Considerable differences in body satisfaction were seen depending on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Moreover, women with less appearance significance and appearance intere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normal or higher appearance significance and appearance interests. Third, the effects of their appearance percep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happiness indicated that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as a subfactor of appearance perception gave negative impacts on happiness. In contrast,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as a subfactor of appearance perception and facial satisfaction as a subfactor of appearance satisfaction gave positive impacts on happiness.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 couple of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happiness of visually impaired women.

서 론
연구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