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150.59
13.59.150.59
close menu
KCI 등재
중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사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Study on the Typ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s : Q-methodological Approach
이광림 ( Lee Kwangrim ) , 이미숙 ( Lee Misuk )
DOI 10.19049/JSPED.2019.20.1.04
UCI I410-ECN-0102-2019-300-001183971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특수교사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학교 일반교사 66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하였고, 40명의 중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Q분류를 실시한 후,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에 대해 연구 참여자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Program을 활용하였다. 중학교 일반교사의 특수교사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발달 특성 및 장애유형에 관한 지식 등 전공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전문지식 보유형’이다. 둘째,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적절한 교육과 지원을 위해, 특수교사 자신들의 역할을 조절하며 수행한다고 인식하는‘균형조절 능력형’이다. 셋째, 특수교사는 힘들고 어려운 장애학생을 가르친다는 것은 사명감 없이는 어려운 일이라고 인식하는‘사명감 기대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 유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고, 이는 통합교육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지원적ᆞ협동적 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해 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perceiv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through Q methodology. Method: It involved in five open type questions from 66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40 teachers classified 40 Q statements and then they got interviews to determine the reasons behind the participants’ se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 Q factor with the QUANL programs. Results: There were three typ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by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 Type 1 : It characterized by teachers who hav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the types of disabilities. Type 2 : It characterized by teachers who are able to balance all aspects of be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Type 3: Characteristic of this type is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perceiv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t it`s hard to teach challeng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upportive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in middle school.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