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4224.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본 글로벌교육정책의 논리와 실천 동향

Discourse and Practice of Global Education Policy in Japan

  • 516

본 연구는 일본의 글로벌교육정책을 살펴보고 글로벌시민교육과의 연관 관계를 찾아 일본에서의 글로벌시민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정부 정책 중 교육 정책 및 문부과학성의 구체적인 교육 시책들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학교 현장에서 글로벌시민교육 실현과 상관관계가 높은 정책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1974년 유네스코 권고에 따라 일본문부과학성은 국제이해교육 및 지속가능교육에 꾸준히 관심 및 지원을 해왔으며 1998년에는 교육과정 속에 국제이해교육이 선택적 종학학습으로 신설되었다. 또한 ESD(지속가능교육)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NGO, 대학기관, 연구 기관들과 연계를 통하여 교육의 심화를 위한 정부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수퍼 글로벌’이라는 이름으로 정부주도하에 다양한 글로벌교육정책들을 밀도 있게 전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 시책들이 학교 현장에서 기존의 국제이해교육, 지속가능교육 등과 다면적 관계를 맺으며 확산되어가고 있다. 그 중 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퍼 글로벌 하이스쿨, 수퍼 글로벌 유니버시티, IB 학교 확대, 영어 교육들은 일본 정부의 글로벌교육의 방향을 목표하고 있으면서도 학교장의 경영관, 교사의 역량,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다양한 요인으로 글로벌시민교육 요소를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tren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 by examine the global educational policy in Japan. Analyze the specific educational initiatives in the education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olicies and school practice. According to the 1974 UNESCO Recommendation, Ministry of Education was been a steady concern and suppor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sustainable education. In 1998,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was into regular school curriculum as an optional learning subject. In addition, government has completely supported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nks with ESD NGOs and academic institutions over the last decade. In recent years, variety of government-led global education policies are reinforced under the name of ‘Super Global’,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existing global educations, such as EIU and ESD. Even Super Global High School, Super Global University, IB schools, and expanding English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with neo-liberal policies of government, we could see the implici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re. Since, how teachers practi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nection with community, etc are significant element for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Ⅰ. 서론

Ⅱ. 글로벌 시민교육의 의미와 개념화

Ⅲ.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글로벌교육

Ⅳ. 글로벌인재 육성을 위한 최신 동향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