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실습성과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방식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 중 실습수업 만족도만이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실습성과 수준이 증가할수록 임파워먼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성과는 사회복지현장실습 만족도 중 실습내용적절성 만족도, 실습슈퍼바이저 만족도, 실습지도교수 만족도와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수업 만족도와 임파워먼트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 향상과 나아가 이들의 임파워먼트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practicum satisfaction on their empowerment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racticum outcom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completing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Gyeongsangnam-do and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First, the practicum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as found to have direct impact upon their empowerment. Second, it became evident that the empowerment of the students is intensified as the level of their practicum outcomes escalates. Thir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ath from practice content suitability, supervisor satisfaction and practicum advisor satisfaction to the student"s empowerm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fully mediated by practicum outcomes. And the path from practicum class satisfaction to the student"s empowerm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was partially mediated by practicum outcom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ould be discussed to take measures to enhancement th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rom the practicum satisfaction and to promote their empowerment a practical manner as part of policy interven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05-000087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