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와 일반성인의 스트레스와 탄력성 규준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스트레스-탄력성 지향’ 척도를 통해 사회복지사 209명과 일반성인 951명의 개인해석이 스트레스를 지향하는지 탄력성을 지향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개인해석은 일반성인에 비해 결점관점, 당위적 사고, 역량인식은 스트레스를 지향하고 있었고, 사회적 지지는 탄력성을 지향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강점관점의 교육과 훈련의 강화, 사회복지 가치의 실증적인 연구와 사회복지사 개인의 가치 탐색,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강화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공식적·비공식적 지지체계망 개발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norm of stress and resilience with social worker and ordinary people and to suggest a practical alternative for social worker"s stress reduce and resilience increase. For the purpose, individual"s interpretive of social worker 209 and ordinary people 951 were analysed to orientate stress or resilience by stress-resilience orientation scale. In the results, social worker has different individual"s interpretive from ordinary people, which is oriented to stress in deficiency focusing, necessitating and skill recognition, while is oriented to resilience in social support. On the results, we suggest a education and enhance training of strength perspective, empirical studies of social welfare value and explore the value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social worker refresher training strengthened, developing and supporting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support network for social worker to manage social worker"s stres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9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05-000727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