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이천 집중호우 사례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재난 당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최근 발생한 자연재난을 경험한 당사자들, 즉 피해자들과 공공기관 재난대책 담당자, 민간기관의 지원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서 나타난 재난 관련 이슈들은 여섯 개의 주제로 구분되었다. 즉, 공공지원체계의 한계, 붙들만한 동아줄, 생경한 재난, 재난이 남긴 상처, 시간이 지날수록 덧나는 상처, 재난의 두 얼굴 등이다. 또한 각 주제들은 여러 개의 하위주제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의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disaster partie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gathered informa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Parties who have experienced natural disasters that the victims of the disaster plan and public agencies, private organizations volunteers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aster-related issues seen in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themes: "The limits of public support systems", "Enough rope to hold", "Unfamiliar disaster", "Wounds left by the disaster", "worsening wound with time", "Two faces of disaster". And each themes were made up of several sub-them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guideline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o cope with disaste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05-001534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