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ᄒᆞᆫ돌 이흥건의 ᄐᆞ래를 서사와 미학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때 등장하는 분석 요소는 자연과 인간, 소외와 관심, 분단과 통일, 디아스포라와 겨레 등 이항 대립의 현상과 본질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ᄐᆞ래는 군사 독재 때부터 발생한 산업화와 도시화, 난개발, 서구화, 입시 위주 교육, 빈부 차, 인간 소외, 분단 갈등의 사회 문제를 무저항과 불복종의 정신으로 맞서는 상실과 고통의 체험 서사를 노래하였다. 그리고 창작 의욕이 단절된 공백기를 자기 성찰과 노력으로 극복한 이후의 ᄐᆞ래는 ‘자연의 울림과 자기의 참모습’, ‘디아스포라 의식과 겨레의 얼’을 일체화하는 디아스포라 서사시의 느낌이 두드러진다. 〈터〉에서 시작한 조국과 국토, 겨레에 대한 서사시는 〈한뫼줄기〉를 전환점으로 뿌리보다 길을 찾는 디아스포라 의식이 선명해진다. ᄒᆞᆫ돌은 음악보다 서사의 원천에서 영감을 얻는다. 그의 ᄐᆞ래는 ‘노랫말을 위해서 리듬이 곁들어지는 것’에 치중한다. 이 때문에 ᄐᆞ래가 갖는 기호학적 특성은 내재적 의미(슬픔의 정서)가 오묘해도 외형적 음운이 단순한 것이 한계다. 공감과 더불어 감동까지 끌어내는 데는 내포적(의미론적)인 부분과 외연적(음운론적)인 부분의 조화가 필요하다. 슬픔의 정서를 더 많은 사람이 공유하려면 음운론적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슬픔에 대한 공감과 감동은 동일한 경험의 이야기보다 비슷한 정서의 분위기에 이끌리는 경우가 더 많다. ᄐᆞ래 속 슬픔의 미학은 유년 시절부터 겪은 상실과 고독, 가난의 맥락에서 표출된 원초적인 체험 서사에서 출발하지만, 긴 공백기를 거치면서 심화한 슬픔의 미학은 타인(실향민, 해외 입양자, 러시아 고려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의 디아스포라 경험까지 자기화하면서 궁극적인 구원 서사를 지향한다. 이로써 ᄐᆞ래는 잠재적으로 민족의 한계를 뛰어넘을 가능성도 지니게 되었다. ‘이산되는 소리’로서의 ᄐᆞ래는 다른 세계 음악과의 접점에서 깊은 슬픔의 호소력으로 유리한 국면을 맞을 수 있다. 반다문화주의가 아닌 상호문화주의의 지향으로 글로벌 디아스포라 담론을 형성할 수도 있다. ᄒᆞᆫ돌의 ᄐᆞ래는 디아스포라 음악으로서 지속적으로 공감의 영역을 찾고 인식의 지평을 넓혀나가는 것이 향후 과제요 목표다.

키워드

ᄒᆞᆫ돌(한돌), ᄐᆞ래(타래), 서사와 미학, 슬픔의 미학, 이산되는 소리, 디아스포라

참고문헌(18)open

  1. [단행본] 한돌 / 2006 / 저 산 어딘가에 아리랑이 있겠지 / 실천문학

  2. [단행본] 한돌 / 2006 / 한돌다래 이야기 / C&L Music

  3. [단행본] 한돌 / 2009 / 한돌다래 566 : 그냥 가는 길 / C&L Music

  4. [단행본] 한돌 / 2015 / 한돌다래 571 : 가면 갈수록 / C&L Music

  5. [단행본] 한돌 / 2019 / 꿈꾸는 노란 기차 / 열림원

  6. [학술지] 김휘택 / 2013 / 반다문화주의, 정체성, 민족 / 다문화콘텐츠연구 (15) : 305 ~ 333

  7. [단행본] 미하일 바흐찐 / 1998 /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 창작과비평사

  8. [단행본] 정영주 / 2014 / 디아스포라와 혼종성 / 에코리브르

  9. [학술지] 송효섭 / 2012 / 아리랑의 기호학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 (3) : 29 ~ 49

  10. [학술지] 유영민 / 2008 / 남과 북의 가교 : 재외동포의 남북한 음악 전승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30 : 181 ~ 198

  11. [학술지] 유영민 / 2011 / 경계를 넘나드는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음악 ― 자이니치 코리안의 음악을 중심으로 / 音.樂.學 19 (1) : 7 ~ 36

  12. [단행본] 존 블래킹 / 1999 /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 / 민음사

  13. [단행본] 존 스토리 / 2013 /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 태학사

  14. [단행본] 최유준 / 2011 / 음악 문화와 감성 정치 : 근대의 음조와 그 타자 / 작은 이야기

  15. [학술지] 최유준 / 2012 / 블루스와 ‘슬픈 음악’의 정치학 / 音.樂.學 20 (1) : 111 ~ 143

  16. [단행본] 케빈 케니 / 2016 / 디아스포라 이즈 / 앨피

  17. [학술지] H. H. 에게브레히트 / 1992 / ‘음악외적인 것’은 무엇인가? / 음악과 민족 (4) : 117 ~ 125

  18. [단행본] James Paul Gee / 2017 / 담론분석 입문 : 이론과 방법 / 아카데미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