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광화문의 정치학 : 예술과 권력의 재현

The Politics of Gwanghwamun - art and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ower

한국정치학회보
약어 : -
2009 vol.43, no.3, pp.77 - 98
DOI : 10.18854/kpsr.2009.43.3.004
발행기관 : 한국정치학회
연구분야 : 정치외교학
Copyright © 한국정치학회
204 회 열람

이 연구는 광화문의 역사를 정치권력의 재현이 란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의 정문으로 탄생한 이래 광화문은 해체와 건립의 과정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해왔다. 그러한 과정의 핵심에는 정치권력이 자리한다. 광화문에는 다양한 정치권력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왕조권력 은 광화문의 건립과 재건립을 통해 군주의 위엄과 존엄을 드러내고자 했으며, 일제의 식민권력은 광 화문 해체를 통해 조선왕조의 붕괴와 제국주의 권 력의 부상을 가시화하고자 했다. 한국의 군부권력 이 광화문 재건을 통해 경제건설과 민족주의라는 이념을 표상하고자 했다면, 그 이후에 등장한 정치 권력들은 경복궁과 광화문의 복원을 통해 역사적 정통성이라는 새로운 자본을 획득하고 그에 기초 해 권력의 대중심리학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렇듯 광화문의 역사는 정치권력이 (건축)예술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의지와 비전을 시각적으로 재 현하고자 하는 상징행위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Gwanghwamun in a point of view of political power’s representation. Since it has been made as central gate of Gyongbokgung(1st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Gwanghwamun has been repeatedly between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We can explain this contradictory history with the will of political power. In this edifice hide diverse prints of political power. The royal power of Chosun Dynasty has wanted to represent the king’s authority and dignity with repeated erection of Gwanghwamun, and the colonial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has desired the visualization of the fall of Chosun Dynasty and the rising of imperial power in its deconstruction. In the same logic, the Korean military power has intented to represent the ideology of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value with reconstruction of Gwanghwamun, and having wished to possess the new political capital, historical orthodox and to consolidate the people’s political support, the successive political powers have restored Gwanghwamun. All of this story says that the history of Gwanghwamun is the same with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powers’symbolic action visualizing their will, capacity and vision with mobilization of an public edifice.

경복궁, 광화문, 예술, 정치권력, 재현
Gyongbokgung, Gwanghwamun, art, political power, representation

  • 1. [기타] 국립영화제작소 / 1991 / 경복궁복원기공식2(대통령치사) / 국가기록원 대전서고
  • 2.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2000 / 한국사 37: 서세동점과 문호개방
  • 3. [인터넷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편 / 국역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 4. [기타] 길윤형 / 2007 / 광화문은 왜 콘크리트인가 / 한겨레21(1월 5일)
  • 5. [학술지] 김대호 / 2004 /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조선신궁 건립과 운영 / 한국사론 / 50 : 291 ~
  • 6. [학술지] 김동욱 / 1998 / 조선 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 건축역사연구 / 7 (2) : 9 ~ 2
  • 7. [단행본] 김동욱 / 1999 /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 서울대학교 출판부
  • 8. [학술지] 김동욱 / 2002 / 조선 초기 경복궁 수리에서 세종의 역할 / 건축역사연구 / 11 (4) : 129 ~ 4
  • 9. [학술지] 김동욱 / 2008 / 조선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 광화문 앞의 행사와 그 의미- / 건축역사연구 / 17 (4) : 25 ~ 4 kci
  • 10. [단행본] 김병우 / 2006 / 대원군의 통치정책 / 혜안
  • 11. [단행본] 김동현 역 / 1995 / 조선총독부 청사 신영지 / 국립중앙박물관
  • 12. [단행본] 김삼웅 / 1997 / 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 가람기획
  • 13. [단행본] 김영삼 / 2001 / 김영삼 대통령 회고록(하) / 조선일보사
  • 14. [학술지] 김영수 / 2003 / 근대 한국의 실패와 정치적 리얼리즘(I) / 동양정치사상사 / 2 (1) : 37 ~ 1
  • 15. [단행본] 김용옥 / 2004 /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 통나무
  • 16. [학술지] 김형오 / 2005 / 승자의 역사파괴는 막아야 한다 / 통일한국 : 98
  • 17. [기타] 문화공보부 / 1968 / 광화문 복원준공식 행사 계획 / 국가기록원 대전서고
  • 18. [기타] 문화재청 / 2003 / 경복궁 광화문권역 복원정비를 위한 공청회(7월)
  • 19. [기타] 문화재청 / 2005 / 광화문’편액 역사고증 및 집자사례 연구(5월)
  • 20. [보고서] 문화체육부 / 1997 / 구 조선총독부 건물 실측 및 철거 보고서(상)
  • 21. [단행본] 민족문화추진위원회 / 1994 / 국역 승정원일기:고종
  • 22. [학술지] 박성진 / 2007 / 일제강점기 경복궁 전각의 훼철과 이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23 (5) : 133 ~ 5 kci
  • 23. [학술지] 박은식 / 1972 / 적이 광화문을 훼각한다 / 나라사랑 / 8 : 132
  • 24. [단행본] 박정희 / 2006 / 한국국민에게 고함 / 동서문화사
  • 25. [학술지] 박태화 / 2002 / 한국·중국·일본 3국 지붕의 변천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5 (1) : 3 ~ 1 kci
  • 26. [단행본] 백영자 / 1994 /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27. [단행본] 부르디외,P / 2005 / 실천이성 / 동문선
  • 28. [학술지] 손정목 / 1989 / 조선총독부 청사 및 경성부 청사 건립에 관한 연구 / 향토서울 (48) : 59 ~ 48
  • 29. [단행본] 손정목 / 1990 /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 일지사
  • 30. [학술지] 안외순 / 2000 / 대원군의 사회적 기반과 지지세력 / 동방학 / 6 : 223 ~
  • 31. [단행본] 야나기 무네요시 / 2002 / 조선을 생각한다 / 학고재
  • 32. [단행본] 양택규 / 2007 / 경복궁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 책과함께
  • 33. [단행본] 연갑수 / 2001 / 대원군 집권기 부국강병책 연구 / 서울대학교 출판부
  • 34. [학술지] 유홍준 / 2005 / 광화문은 경복궁의 정문이다 / 통일한국 : 99
  • 35. [단행본] 이강근 / 2003 / 경복궁 / 대원사
  • 36. [단행본] 이무용 / 2005 / 공간의 문화정치학 / 논형
  • 37. [단행본] 이이화 / 2004 / 한국사 이야기 17: 조선의 문을 두드리는 열강 / 한길사
  • 38. [학술지] 장기인 / 1991 / 조선총독부 청사 / 대한건축학회지 / 35 (2) : 44 ~ 2
  • 39. [학술지] 장대원 / 1963 / 경복궁 중건에 관한 소고 / 향토서울 (16) : 7 ~ 16
  • 40. [학위논문] 장지연 / 1999 / 여말선초 천도논의와 한양 및 개경의 도성계획
  • 41. [학술지] 장헌덕 / 2004 / 경복궁의 복원과 보존 / 건축역사연구 / 37 : 98 ~
  • 42. [학위논문] 전재호 / 1997 /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연구
  • 43. [학술지] 전재호 / 1998 / 민족주의와 역사의 이용 / 사회과학연구 / 7 : 83 ~
  • 44. [학술지] 정기용 / 1994 / 광화문에서 남대문까지 / 문화과학 (5) : 45 ~ 5
  • 45. [단행본] 정도전 / 1977 / 국역 삼봉집 1, 2 / 솔
  • 46. [학술지] 정룡 / 2006 / 韓中 宮闕의 立地 및 三朝空間 構成에 關한 比較硏究- 景福宮과 紫禁城을 中心으로 -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영문 (4) : 38 ~ 4 kci
  • 47. [단행본] 정재훈 / 2005 / 조선전기 유교정치사상 연구 / 태학사
  • 48. [학술지] 정호기 / 2007 / 박정희시대의 '동상건립운동'과 애국주의: '애국선열조상건립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 30 (1) : 335 ~ 1 kci
  • 49. [학술지] 조재모 / 2000 / 고종기 경복궁 중건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16 (4) : 31 ~ 4
  • 50. [단행본] 주남철 / 2000 / 한국건축사 / 고려대학교출판부
  • 51. [단행본] 지재희 / 2002 / 주례 / 자유문고
  • 52. [단행본] 최상용 / 2007 / 정치가 정도전 / 까치
  • 53. [학술지] 최연식 / 2007 / 박정희의 '민족' 창조와 동원된 국민통합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28 (2) : 43 ~ 2 kci
  • 54. [학술지] 하상복 / 2005 / 한국의 민주화와 민족주의 이념의 정치(1945~1987) / 동아연구 (49) : 193 ~ 49 kci
  • 55. [단행본]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집위원회 / 1992 / 한국문화상징사전 1 / 두산
  • 56. [단행본]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 2005 / 한국현대예술사대계 III / 시공사
  • 57. [단행본] 한영우 / 1999 /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 지식산업사
  • 58. [학술지] 홍석주 / 2007 / 조선조 궁궐의 월대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 32 (3) : 43 ~ 3
  • 59. [기타] / 98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제3호
  • 60. [학술지] 홍순민 / 1997 / 다시 광화문이여 광화문이여: 조선 황실의 운명과 일제의 궁궐 파괴 / 역사비평 (봄) : 261 ~ 봄
  • 61. [학술지] 홍순민 / 2004 / 일제의 식민 침탈과 경복궁 훼손 / 문명연지 / 5 (1) : 5 ~ 1
  • 62. [단행본] 홍순민 / 2007 / 우리궁궐이야기 / 청년사
  • 63. [단행본] 賀業鉅 / 1995 / 중국도성제도의 이론 / 이화문화사
  • 64. [기타] Apostolidès,J.-M / 1981 / Le Roi-Machine.Les Editions de Minuit.1981
  • 65. [단행본] Balandier,G / 1992 / Le Pouvoir sur Scènes / Balland
  • 66. [단행본] Edelman,M / 1995 / From Art to Politics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67. [단행본] Geertz,C / 1985 / Centers, Kings and Charisma in Rites of Power /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13 ~
  • 68. [학술지] Giesey, E. E / Models of rulership in French Royal Ceremonial in Rites of Power : 41 ~
  • 69. [단행본] Marin,L / 2005 / Politiques de la Représentation / Editions KIME
  • 70. [단행본] Sfez,L / 1988 / La Politique Symbolique / PUF
  • 71. [기타] / 「대한매일신보」, 「데일리안」, 「동아일보」, 「문화일보」, 「조선일보」, 「프레시안」, 「한겨레신문」, 「한국일보」
  • 72. [인터넷자료] / 대한뉴스 705호(e영상역사관(http://film.ktv.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