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금융카드의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 특성과 사용 의도 간의 관계-브랜드 선호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of Financial Cards and its Usage Intention-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Brand Preference-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약어 : BDAK
2020 vol.18, no.4, pp.195 - 212
DOI : 10.18852/bdak.2020.18.4.195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9 회 열람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많은 브랜드에서 활용되고 있는 콜라보레이션이 최근 국내 금융 기업에서도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금융카드에 대한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의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에 관심을 많이 갖는 한국 내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했다. 다음으로 한국 내 경쟁이 치열했던 3개의 콜레보레이션 캐릭터 금융카드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했으며, 다양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가설검증을 위해 250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금융카드의 독창성, 친근성, 신뢰성, 역동성 4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브랜드 선호도, 종속변수 사용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고 분석했다. 그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 특성 중, 독창성, 친근성, 신뢰성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브랜드 선호도를 부분매개하는 효과가 있었고,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의 역동성의 경우에는 브랜드 선호도를 완전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근하고 깊은 인상과 생동감을 부여하는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를 마케팅에 독창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면 고객들의 거부감은 줄이고 신뢰감은 높여 브랜드 선호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 행동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들은 기업들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를 활용해 성공적인 마케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참조할 효과적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many brands have already used ‘Collaboration’ as a useful marketing tool, the popularity of this method is particularly on the rise recently, with domestic financial companies attempting to utilize this method to promote their br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 have gone through a lot of prior studies. Second, I have conducted a case analysis on three different collaboration character cards that were popular in Korea. Third, I have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suggest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the influence of uniqueness, familiarity, and reliability on the usage inten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y brand preference. The impact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dynamics on usage intention had a full mediation effect by brand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ell us that by utilizing the unique marketing methods of creating a collaboration character with a high level of familiarity and liveliness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brand, reduce brand repulsion, increase brand preference, and ultimately induce customers to use the brand even more.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 브랜드 선호도, 사용 의도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Brand Preference, Intention to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