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시대를 맞아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네이밍이 해외 소비자들로부터 브랜드인지도를 얻을 수 있는지 그 네이밍을 살펴하고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 23개 시군이 개발한 공동브랜드로 국한한다. 연구방법은 주요 지방자치단체 현장답사와 인터뷰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농산물 공동브랜드 선행연구 검토, 각 지방자치단체ㆍ농업기술센터의 홈페이지 등의 2차 자료를 활용한다. 분석 결과, 경상북도 23개 시군과 도를 포함한 공동브랜드의 네이밍은 사과의 공동브랜드 Daily를 제외하면 글로벌시장을 고려하지 않고 내수시장만을 목표로 공동브랜드 네이밍을 개발하였다.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글로벌네이밍 전략은 다음과 같이 길잡이(Guide)가 실행되어져야 한다. 첫째, 브랜드네이밍은 생산지역명ㆍ국가명을 가급적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Dole, Zespri를 들 수 있다. 둘째, 차별적이고 주도적 리더 농산물 품목을 중심으로 네이밍을 작명하도록 해야 한다. 추종 생산품목은 리더 품목에 의존해 가는 전략이 경제적 편익을 얻는다. 셋째, 글로벌네이밍은 해외 소비자들에게 종교적 색채가 어필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네이밍은 5음절 이내로 작명하여 기억하기 쉽게 해야 한다. 넷째, 농산물 브랜드네이밍이 어필되는 우위의 특정시장을 표적으로 설정하고 그 시장을 집중공략한 후 확산시키는 침투→교두보 확보→시장유지→확산의 단계를 밟는다. 다섯째, 포장(Package)은 국가별로 국민성을 감안한 컬러를 이용해야 한다. 가령, 중국소비자에게 파랑박스 용기에 사과를 담아 팔려는 시도는 백전백패이다. 여섯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을 작명하기에 앞서 글로벌 표적시장 선정을 고민해야 한다. 가령, 동남아는 한류로 K-food를 선호하므로 이런 기회를 활용하는 방법도 시장우위전략의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특정지역시장을 고려할 때는 반드시 특정지역 국가의 농식품 관련 안전규격 인증을 획득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글로벌네이밍의 개발로 글로벌시장에서의 교두보 확보와 실패비용을 예방하는데 있다.

키워드

경북의 기초지방자치단체, 농산물 공동브랜드, 글로벌네이밍 전략

참고문헌(32)open

  1. [기타] 경상북도 통계포털 / 2018 / 경북주요지표 100선

  2. [단행본] 권기대 / 2019 / 농산물브랜드마케팅 / 박영사

  3. [단행본] 농림수산식품부 / 2011 / 농축산물브랜드현황

  4. [단행본] 농림축산식품부 / 2018 / 2017년 농림수산식품 수출입 통계

  5. [기타] 법제처 / 2018 / 상표법, 법률 15581호 / 국가법령정보센터

  6. [단행본] 통계청 / 2018 / 2017년 경지면적조사 결과

  7. [단행본] Aaker, D.A / 1996 / Building Strong Brands / The Free Press

  8. [단행본] Keller, K.L / 2003 / Strategic Brand Management / Prentice-Hall

  9. [단행본] Ries, Al / 2001 / Positioning / McGra w-Hill Education

  10. [학술지] 권기대 / 2011 /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실태와 성공요인 분석 / 농업경영.정책연구 38 (4) : 1007 ~ 1031

  11. [학술지] 권기대 / 2008 / 청양구기자의 지리적 표시와 공동브랜드간의 공생마케팅전략 / 식품유통연구 25 (2) : 77 ~ 101

  12. [학술지] 국선영 / 2009 /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형태·색채를 중심으로 -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0 : 76 ~ 86

  13. [학술지] 김신애 / 2013 / 브랜드의 다차원적 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굿뜨래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1 (2) : 35 ~ 46

  14. [학술지] 김신애 / 2013 / 지방자치단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및 브랜드네이밍전략 - 충남지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1 (4) : 5 ~ 16

  15. [학술지] 김신애 / 2013 / 부여군 공동브랜드 굿뜨래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 (4) : 1620 ~ 1631

  16. [학술지] 김제중 / 2005 / 전라남도 농산물 공동브랜드 ‘남도미향’ 이미지 제고를 위한 고찰 / 조형미디어학 16 (8) : 203 ~ 214

  17. [학술지] 박규원 / 2007 / 농산물 공동브랜드 패키지디자인에 나타난 색채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 (4) : 157 ~ 169

  18. [학술지] 손수경 / 2007 / 농산물 공동 브랜드에 관한 연구-고성 참다래 공동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조형미디어학 10 (4) : 103 ~ 112

  19. [학술지] 신내경 / 2007 / 브랜드네이밍전략에 따른 인지도 연구, / 정보디자인학연구 10

  20. [학술지] 전창곤 / 2006 /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화의 실태와 일본의 공동브랜드화 연구 / 식품유통연구 23 (1) : 53 ~ 77

  21. [학술지] 전창곤 / 2004 / 농산물 공동브랜드화 유형과 성공요인 및 발전방안, / 식품유통연구 21 (1)

  22. [학술지] 최문희 / 2008 / 농산물 공동브랜드 수용성 강화에 관한 연구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6 (1) : 63 ~ 74

  23. [학술지] Belk, R.W / 1988 / Possession and the Extended Self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 (2)

  24. [학술지] Dwyer, F. R / 1987 / Developing Bu yer-Seller Relationships / Journal of Marketing 51 (2)

  25. [학술지] Fournier, S / 1998 / Consumer and Their Brands / Journal of C onsumer Research 24 (4) : 343 ~ 373

  26. [기타] 농림부 / 1999 / 99 농축산물 브랜드화추진대책

  27. [기타] 농림부 / 2001 / 농산물도 이제는 브랜드 시대

  28. [단행본] 농림축산식품부 / 2019 / 17년 농산물 공동브랜드현황 / 유통정책과

  29. [기타] 특허청 / 2017 / 농산물도 이제는 브랜드 시대 / 상표디자인 심사국 국제상표출원심사팀

  30. [인터넷자료] / 경상북도

  31. [인터넷자료] / 전라남도

  32. [인터넷자료] / 충청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