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결혼이민자를 위한 입국 전 한국어 능력 시험 개발 연구 : 세종학당 학습자를 중심으로
Research on development Korean language test for marriage immigration class at King Sejong Institute

첫 페이지 보기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raise the needs for assessment tool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nd to design a proficiency-oriented achievement test that can be used in the King Sejong Institute, which disseminate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one of the official Korean language center for Korean immigrant visa. To this end, the language assessment tools for immigrants were reviewed, and advisory opinions were converged from experts. Based on this, test structure and test task specification is completed and piolt tests were administrated at King Sejong Institute in Vietnam and Philippine to prov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is test. As a result, it was designed with two levels: beginner 1A and beginner 1B, and the test areas were set to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with five types of test items. Each item evenly distributed in upper, middle and lower difficulty. Speaking test items consist of a short answer type and a narrative type, and it was conducted in two performance tests during one semester

목차


1. 서론
2. 결혼이민자를 위한 언어 평가
2.1 결혼이민자를 위한 외국의 언어 평가 현황
2.2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및 평가
3.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의 실제
3.1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3.2 평가의 영역 및 문항 구성
3.3 평가 문항의 예
4.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능력 평가 도구 개발 결과
4.1. 시범 평가 및 결과 분석
4.2. 평가에 대한 학습자 및 기관 관계자 의견
4.3. 개선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강현주 [ Kang, Hyunju | 호남대학교 한국어학과 ] 주저자
  • 이경 [ Lee, Kyung | 호남대학교 한국어학과 ] 공동저자
  • 류선숙 [ Ryu, Seonsuk |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ociety]
  • 설립연도
    2003
  • 분야
    인문학>영어와문학
  • 소개
    본 학회의 설립 목적은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을 의한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학회의 근본 목적이다. 최근 한국어 교육의 중심 축은 한국어의 언어적 지식 교수가 아닌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로 옮겨가고 있고, 그 변화과정에서 한국문화 교육 역시 자연스럽게 한국어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맺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방법론을 학제간의 관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아 체계적 연구를 꾀하는 것이 본 학회의 실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언어와 문화 [The Language and Culture]
  • 간기
    계간
  • pISSN
    1738-3641
  • 수록기간
    2004~2020
  • 십진분류
    KDC 710 DDC 49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언어와 문화 제16권 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