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윌리암 마틴((Rev. W.A.P. Martin, D.D., LL.D., 1827-1916, 중국명 丁韪良)은 미국장로교 선교사로서 동문관(同文館)의 교사와 총교습(1865-1894) 그리고 베이징대학의 전신인 경사대학당(京師大學堂)의 총교습(1897-1902), 즉 교장직을 맡을 정도로 중국 지식사회에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종교, 즉 유, 불, 도 삼교와 기독교의 비교를 통해 이 삼교가 갖추지 못한 기독교 신앙의 보편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 사회 전체에 대한 접근과 중국인의 종교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국종교를 탐구했다. 비록 그의 중국종교 이해는 삼교보다 우월하며 중국인의 진정한 종교적 갈망을 채워줄 기독교 진리를 절대불변의 상수로 두지만, 삼교 안에 기독교를 수용할 수 있는 요소가 있음을 긍정했다. 분명 그의 중국종교 이해는 중국 사회를 유교만이 아니라 불, 도교에 대한 이해에 기초해 총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의 이런 노력을 통해 앞으로 기독교가 동양과 서양 어느 곳에서든 그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길을 궁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William Martin (Rev. W.A.P. Martin, D.D., LL.D. 1827-1916, named in Chinese, 丁韪良) as a presbyterian missionary was an influential figure in the Chinese intellectual society, having served as a teacher and the principal(1865-1894) at Dong-mun-kwan(同文館), which China (Ching dynasty) wanted to use as a diplomatic gateway, and as the Dean of Kyung-sadae- hak-dang(京師大學堂) (1897-1902), the predecessor of the University of Beijing. He conducted a comparison between the Chinese religion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ith Christianity for his missionary works. He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Christian faith that is not equipped in these three religions. His study had shown his endeavor to find right way to Chinese mission through his access to Chinese society as a whole and his understanding of Chinese religiosity. Although he thought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the Chinese religions and it contains the absolute truth which satisfies Chinese people in terms of the true religious aspirations, he affirmed that these religions have an element that can accommodate into Christianity. Apparently, his understanding of Chinese religions is attempting a holistic approach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Confucianism. Thus,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h for Christianity to take its roots in the East as well as in the West through his works.

목차

I. 여는 말
II. 왜 유, 불, 도 삼교(三敎)인가?
III. 유교: 일종의 도덕체계지만 신적 권위가 없는 종교
IV. 불교: 기독교를 위해 준비된 종교
V. 도교: 유물적 혼합체이며 민간 미신신앙의 근원인 종교
VI. 중국인의 종교성과 삼교의 역할
VII. 제사와 삼교의 관계
VIII. 닫는 말
참고문헌
한글 초록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