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명제가 지시하는 사태의 실재성

The reality of the state of affairs referred by the proposition

우리말글
약어 : 우리말글
2019 vol.82, pp.97 - 121
DOI : 10.18628/urimal.82..201909.97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우리말글학회
11 회 열람

이 글은 바깥 세계에 존재하는 사태와 직접적인 대응을 통해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고 주장한 전통적인 명제론의 문제를 살펴보고, 명제의 진위 판단에 근거가 되는 사태가 어디에 실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문장 의미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문장 의미가 곧 명제라고 인식하는 편이었다. 외부 세계에 존재하면서 특정한 모형 안에 있는 사태와 명제를 직접 대응시켜서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정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명제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둘째, 사태의 존재 배경이 되는 세계에 따라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명제의 참과 거짓의 판단은 외부 세계의 사태 존재 여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화자 자신이 개념화한 세계에 사태가 존재하느냐에 달려 있다. 비록 프레게가 심리적 개념으로는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의사소통의 성공을 바라는 화자와 청자는 각자의 개별 행위를 상호 조율함으로써 명제 내용을 공통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traditional proposition theory that claims to judge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through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state of affairs that exist in the outside world, and to see where the situation based on judging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exists. In studies dealing with sentence mean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perceived as a proposition. It is known that the truth and false of a proposition is determined by directly responding to state of affairs that exists in the outside world and is within a particular model. A proposition with these features has several problems. First, judgments of truth and false on proposition can be fluid. Second, depending on the world behind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the judgment of truth and false on the proposition may be flexible. The judgment of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 does not depend on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in the outside world, but on whether the state of affairs exists in the world that the speaker has conceptualized. Although Frege was concerned that communication would not be able to be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 psychological concepts, speakers and listeners wishing for the success of communication can use the proposition as a common ground by mutually coordinating their individual actions.

명제, 문장 의미, 모형, 개념화한 세계, 사태, 의사소통
proposition, sentence meaning, model, conceptualized world, state of affairs, communication

  • 1. [단행본] 강범모 / 2018 / 의미론 : 국어, 세계, 마음 / 한국문화사
  • 2. [단행본] 김대식 / 2014 / 내 머릿속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 문학동네
  • 3. [단행본] 김민수 / 1971 / 국어문법론 / 탑출판사
  • 4. [단행본] 문귀선 / 1995 / 형식의미론 / 한신문화사
  • 5. [단행본] 손병홍 / 2002 / 논리학 1 : 명제논리 / 소피아
  • 6. [단행본] 심재기 / 1984 / 의미론 서설 / 집문당
  • 7. [단행본] 이병덕 / 2017 / 표상의 언어에서 추론의 언어로 / 성균관대 출판부
  • 8. [단행본] 이익환 / 1994 / 의미론개론 / 한신문화사
  • 9. [단행본] 임지룡 / 2018 / 한국어 의미론 / 한국문화사
  • 10. [단행본] Barsalou, L. W. / 2016 / Foundations of embodied cognition(vol. 1): Perceptual and emotional embodiment / Psychology Press : 11 ~
  • 11. [단행본] Chierchia, G. / 2004 / 의미와 문법: 의미론 개론 / 한국문화사
  • 12. [단행본] Clark, H. H. / 2009 / 언어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 / 경진
  • 13. [단행본] Evans, V. / 2008 / 인지언어학 기초 / 한국문화사
  • 14. [단행본] Fauconnier, G. / 2012 / 정신 공간 : 자연 언어의 의미 구성 양상 / 한국문화사
  • 15. [단행본] Frege, G. / 1918 / The Frege Reader / Blackwell : 325 ~
  • 16. [단행본] Goldstein, E. B. / 2016 / 인지심리학 : 마음, 연구, 일상경험 연결 /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 17. [단행본] Huang, Y. / 2009 / 화용론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 18. [단행본] Jackendoff, R. / 2005 / 언어의 본질 / 박이정
  • 19. [단행본] Ogden, C. K. / 1986 / 의미의 의미 / 한신문화사
  • 20. [학술지] Tarski, A. / 1944 / The semantic conception of truth and the foundations of semantics /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 4 (3) : 341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