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浮查 成汝信(1546-1632)의 유람을 통해 본 은일관 및 경세관과 그 의미를 「方丈山仙遊日記」와 여러 기행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부사는 산수유람을 통해 儒仙的 은일관과 歷史的 경세관이 나타나고 있었다. 먼저, 儒仙的 은일관이 잘 나타나고 있었다. 부사는 현실에 바탕을 둔 儒仙을 지향하고자 했고 仙境과 이상적 공간을 지향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歷史的 경세관이 잘 나타나고 있었다. 부사는 역사에 바탕을 둔 治世에 관심을 가지며 고증하였고 高士와 賢士에 대한 典故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부사의 산수유람에 나타나는 은일관과 경세관은 한수작의 풍류와 낭만적 감성과 경세제민과 연원에 대한 의식을 가지는 의미를 지닌다.

키워드

부사 성여신, 은일관, 경세관, 산수유기, 기행시, 儒仙, 경세관, 풍류, 경세제민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성여신 / 부사집

  2. [단행본] 성여신 / 진양지

  3. [단행본] 박민 / 능허집

  4. [단행본] 조식 / 남명집

  5. [기타] / 시경

  6. [기타] / 연려실기술

  7. [기타] / 장자

  8. [기타] / 통감절요

  9. [기타] / 향토문화전자대전

  10. [기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1. [학위논문] 高順貞 / 1996 / 浮査 成汝信 硏究

  12. [학술지] 김문기 / 2014 / 琴川九曲 園林과 琴川九曲詩 연구 / 영남학 (55) : 273 ~ 302

  13. [학술지] 김종구 / 2009 / 遊山記에 나타난 遊山과 讀書의 상관성과 그 의미 - 지리산과 청량산 遊山記를 중심으로 - / 어문론총 (51) : 125 ~ 157

  14. [학술지] 설석규 / 2009 / 敬, 義의 사회적 실천전범을 제시한 선비, 浮査 成汝信 / 선비문화 16 : 111 ~ 126

  15. [학술지] 이상원 / 2001 / 浮査 성여신의 隱逸精神 / 남명학 9 : 229 ~ 252

  16. [학술지] 전병철 / 2016 / 부사 성여신의 우정과 신의 / 선비문화 29 : 135 ~ 146

  17. [학술지] 정우락 / 2014 / 낙동강과 그 연안지역의 공간 감성과 문학적 소통 / 한국한문학연구 (53) : 173 ~ 213

  18. [학술지] 최석기 / 1999 / 부사 성여신의 지리산유람과 선취경향 / 한국한시연구 7 : 107 ~ 137

  19. [단행본] 이수건 / 1995 /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 일조각

  20. [단행본] 최석기 / 2015 / 부사 성여신 / 예문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