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80년대의 첫머리는 ‘광주민주화운동’이 열었다. 국가가 자국민에게 쏟아 부운 야만적 폭력에 대한 충격은 사회 곳곳에 다양한 대응을 성립시켰다. 특히 소설의 영역에 있어서만큼은 임철우에 버금갈 만치 이러한 야만에 대한 대응을 성실히 수행해온 작가는 드물다. 이 때문에 임철우는 ‘광주’라는 상징적 대상에 대한 형상화에 있어서 특권적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이른바 ‘5월 작가’라는 그에 대한 수사는 이러한 사정을 잘 드러낸다. 물론 임철우의 문학적 여정을 통관하여 볼 때 분명 필요하고 타당한 수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광주’에 대한 죄의식을 소설의 장에서 지속적으로 표출해온 바와 더불어 무비한 문장력으로 다수의 서정소설을 써냈다는 사실이다. 이 서정소설들은 ‘5월 작가’라는 수사로는 그 출현의 근거를 설명해낼 수 없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해 칸트의 ‘초월적 이념’이라는 개념에 기대어 접근하였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이성이 그 허위를 인지하더라도 결코 떨쳐낼 수 없는 가상들을 탐구한다. 이러한 가상들 중 인류사와 더불어 계속해서 반복되어온 ‘신’, ‘자유’, ‘영혼’ 등의 특권적 가상들을 일컬어 ‘초월적 이념’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들은 존재값은 없으나 이성이 하나의 사태를 상위 단계로 통합해나갈 때 이성을 인도하는 ‘규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기각한 초월적 이념들을 『실천이성비판』에 이르러서는 그것이 우리의 실천적 영역에 ‘요청’된다고 기술한 것이다. 임철우의 경우 소설 곳곳에서 가상의 지위를 탐구한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그의 죄의식 계열 소설에서 도드라지는데, 소설의 인물들은 각자의 현실을 스스로 허위라고 알고 있으나 결코 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는 가상들을 참조하며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각점은 그가 제출한 서정소설의 요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는 자신의 서정소설을 일종의 ‘요청’된 가상의 세계로 파악하고 이 속에 죄의식 계열의 소설에서는 말소되었던 화해를 부조한다. 실로 그가 그러낸 서정소설의 공간들은 대개 훼손되지 않은 시원적 순수가 돋보인다. 달리말하자면 국가폭력으로 훼손되지 않은 광주의 참모습과 등가를 이루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서정소설은 그가 끊임없이 광주의 총체적 모습을 그려내고자 하고 실패를 반복하는 죄의식계열의 소설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는 서정소설과 죄의식소설을 두 축으로 삼아 1980년대를 헤쳐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임철우식 균형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균형은 1987년의 국면을 맞아 새롭게 재편될 위기에 봉착한다. 본 논문은 1980년대에 임철우가 보여주었던 소설적 세계를 살펴보며 그가 자신의 균형을 와해하며 다큐멘터리 형식의 장편 『봄날』로 이행한 조건을 동시에 살펴보려 한다.

키워드

임철우, 초월적 이념, 서정소설, 가상, 이율배반, 요청, 5.18광주민주화운동

참고문헌(14)open

  1. [단행본] 임철우 / 1984 / 아버지의 땅 / 문학과 지성사

  2. [단행본] 임철우 / 1985 / 그리운 남쪽 / 문학과 지성사

  3. [단행본] 임철우 / 1987 / 달빛밟기 / 문학과 지성사

  4. [단행본] 임철우 / 1987 / 물그림자 / 고려원

  5. [학술지] 임철우 / 2013 / 역사의 비극에 맞서는 문학의 소명-임철우, 김정한 대담 / 실천문학 (112) : 74 ~ 100

  6. [학술지] 임철우 / 2000 / 나의 문학적 고뇌와 광주 / 역사비평 51 : 292 ~ 303

  7. [학술지] 공종구 / 1999 / 임철우 소설의 트라우마: 광주서사체 / 현대문학이론연구 11 : 5 ~ 26

  8. [단행본] 김만수 / 1994 / 문학의 존재영역 / 세계사 : 77 ~ 91

  9. [단행본] 서영채 / 2003 / 문학의 윤리 / 문학동네 : 338 ~ 369

  10. [학술지] 양문규 / 1999 / 임철우론-분단과 광주를 바라보는 역사 허무주의- / 현대문학의 연구 12 : 161 ~ 187

  11. [단행본] 랠프 프리드먼 / 1989 / 서정소설론 / 현대문학

  12. [단행본] 임마누엘 칸트 / 2009 / 순수이성비판 2 / 아카넷

  13. [단행본] 이성민 / 2007 /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 b

  14. [단행본] 슬라보예 지젝 / 2013 / 헤겔 레스토랑 / 새물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