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ince Korean history was selected as a compulsory subjec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rom 2017, it has been implemented twice. The direction for setting questions in the examination under the system of absolute evaluation would help history teachers encourage students to arouse interests and attention, thereby creating various and creative Korean history clas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 history classes in high schools as Korean history became mandatory in the national examination.
History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udents responded that students are willing to learn Korean history and highly interested in the subject after becoming the compulsory subject of Korean history. However, history classes are not distinct from previous days when Korean history was not mandatory and no various and creative history classes stimulating curiosities of students is performed. What is the reason? It was found that history teachers taught students with textbooks based on the history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refore, it is highly significant how new history textbooks a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new history curriculum enacted in 2015. The teacher is the most essential factor that encourag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history classes. Thus, teachers should be willing to diversify history classes. It would be more realistic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performing evaluation centered on the process as an alternative for various classes.

목차

1. 머리말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한국사 수능 필수 이후 역사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4. 한국사 수능 필수 이후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5. 한국사 수능 필수 시행에 따른 시사점
6.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74-003599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