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원측과 법장의 스승인 지엄은 법상으로부터 섭론학을 수학하였다. 또한, 지바하라가 참여한 번역 사업과 실차난타의 『화엄경』 번역에 원측과 법장 모두 참여한 바 있다. 이러한 사적에 의한다면 원측과 법장의 직·간접적인 교류의 가능성이 높고 사상적 영향관계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법장의 󰡔화엄경탐현기󰡕찬술이 원측의 『해심밀경소』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탐현기』의 십지에 대한 논의에 한정하여 규명한다. 십지사상에 대한 원측의 유식학적 해명이 법장을 통해 화엄사상 속에 내재화되는 과정을 밝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다.
『해심밀경소』「지바라밀다품」에서 십지를 개별적으로 논의하는 세 개의 장은 『탐현기』십지론 제1~제6문에 걸쳐 대응관계가 확인된다. 『탐현기』 십지론에 「지바라밀다품」의 텍스트가 재구성되어 있는데, 두 품 간 같은 내용의 단락들에 같은 번호를 매김으로써 그러한 정황이 파악되도록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경문에 대한 해석, 인용 논서와 그에 대한 해석, 주석구성의 내적논리 등이 「지바라밀다품」원측소로부터 『탐현기』 십지론으로 원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황은 원측과 법장, 나아가 유식사상과 화엄사상의 영향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두 가지 작업가설을 마련해준다. 첫째, 당대 법상종에 대항한 화엄종의 정체성 확립과 화엄사상의 체계화에 유식사상의 구도가 요구되었고, 이에 원측의 교학이 법장에 의해 절대적인 신뢰를 받으며 원용되고 있다. 둘째, 원측 교학에 내재되어 있는 포월(抱越)의 이념과, 화엄종의 대성자로서 자리매김될 수 있었던 법장의 성상융회(性相融會)의 지평은, 공통된 사상적 지향을 지니고 있으며, 원측의 유식사상과 법장의 화엄사상 간 직·간접적인 영향관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problems as to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華嚴思想)’. So far, no definitive answer has been given to the ‘Yogācāra thought(唯識思想)’s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 ‘the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十地思想) expressed between the two is an important topic to solve this problem.
What I try to do in this paper is to the question of Woncheuk"s Yogācāra though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 by Beopjang(法藏 , Ch. Fazang; 643-712). Beopjang understanded Yogācāra thought through Woncheuk(圓測, Ch.Yuance; 613-696)"s text.
The ideas of the Hwaeomgyeong Tamhyeongi(華嚴經探玄記, Ch. Huayanjing Tanxuanji, Commentary on Avataṃsaka-sῡtra) were influenced by the Haesimmilgyeong so(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shu,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Especially, Beopjang systematized understanding of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 by the text written by Woncheuk.
In exploring the questions of this theme, this paper will be limited to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within the Jibaramildapum(地波羅蜜多品, The third chapter of the Haesimmilgyeongso) and Hwaeomgyeong Tamhyeongi. Beopjang constructed the latter by using the former.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ext analysis mainly about Dharmamegh(法雲地). It"s results strongl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Woncheuk"s Yogācāra thought had so great influence on the shaping of Hua-yen thought by Beopjang.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며
Ⅱ. 「지바라밀다품」과 『탐현기』 십지론의 관련성
Ⅲ.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s〉

참고문헌 (3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220-003105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