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외모 차별 모티브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미추(美醜)’의 관념에 있어서 불교의 전생관과 업보가 배경이 되어 타인에게 차별을 받는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일본의 12세기 설화집인 『금석물어집』은 출전문헌에는 보이지 않는 ‘고약한 냄새’와 ‘방장의 방’이라는 표현을 추가함으로서 추한 외모로 인해 차별받는 양상을 보다 극대화 시키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타인에 의한 차별의 시선을 견디지 못하고 칩거하는 인물들이 자신의 문제점의 원인이 되었던 전생의 업보를 깨닫는 과정을 통해 왕생에 이르는 전개를 볼 수 있었다. 전생의 업보와 현세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설화에 대한 해석은 그 인과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왔다. 그러나 이상의 설화들은 전생과 현세가 아닌 후세 즉 해탈을 통한 왕생이라는 측면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해탈을 위해서는 현세의 문제점(장애나 추한 외모)의 원인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필수 조건이며 전생을 깨닫게 됨으로서 왕생에 이르게 된다는 결말로 이어진다. 그리고 현세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것이 영험의 주제가 아닌 ‘전생을 알고 왕생에 이른다’는 것을 영험 설화의 본질적인 주제로 보았다. 현세에 다양한 문제점으로 고통받는 인물들은 비록 전생의 업보로 인해 차별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왕생’이라는 최종 목적을 전제로 하였을 때 오히려 적극적으로 전생에 대한 의구심을 갖고 이를 참회하고 해소하여 보다 왕생에 가까운 인물들로 그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unattractive appearances. In Buddhism, if sin is found in a previous incarnation, it is reborn in a person through an unattractive appearance. These people may face discrimination similar to that of the disabled.
Typical figures differentiated by having unattractive appearances are “Kumgangchunyo (金剛醜女)” and “Shingungteaja (燼杭太子).” In the 12th century, Japanese Buddhist lore regarding “konzakumonogatarisyu (今昔物語集)” added the phrases “bad smell” and "”the ten foot square hut” into the original text. The term “bad smell” is an expression reminiscent of Hansen"s disease, while the “the ten foot square hut” refers to a confined narrow room. The latter term emphasizes aspects of discrimination in which a person confines themselves to deep mountains to avoid discrimination. These people seek help from Buddha, and want to know about past life and karma. Eventually, they are presented with knowledge of the past life and will attain Nirvana through penitence. The subject of this story is not a matter of reincarnation and karma. Rather, it is more important to gain knowledge of the past life and Nirvana.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mpediments suffer discrimination, and become marginalized. However, they are actively aware of their past lives, and confess their experiences. This state is said to be closer to Nirvana than others, and is an important subject in Buddhist literature.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외모 차별의 양상 - 고약한 냄새(臭キ香)와 방장의 방(方丈ノ室) -
Ⅲ. 전생의 ‘인연(因縁)’과 깨달음
Ⅳ. 숙업(宿業)의 해소와 왕생의 구조 - 영험 설화의 주제 -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220-001663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