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영아반 담당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들이 어떻게 반영되어서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와 어려움 및 지원 요구를 확인함으로써, 장애통합 영아반에 대한 지원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 영아를 담당하는 특수교사 3명을 대상으로 개별과 집단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자료를 전사하고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시행 중인 장애 영아반은 완전 통합 형태로,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인 자연적인 어린이집 학급 내에서 가족 지원과 팀 접근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자연적 환경인 통합 영아 학급에서 만 2세 일반 또래들의 장애 인식이 없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주요 어려움으로 교사 대 영아 비율이 높은 것과 학급 내 장애위험 영아에 대한 진단과 부모 상담 등의 문제도 제기되었다. 셋째, 가족중심의 IFSP를 진행하려는 노력은 하고 있으나, 장애 진단 초기여서 부모의 심리지원과 양육지원 둘 다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넷째, 어린이집 내 팀 협력은 일반교사들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양한 장애 영아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서 외부의 전문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이러한 장애통합 영아반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들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classes for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based on prerequisite elements of early intervention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Method: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classe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dividual and the group interviews in inclusive settings.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derived through qualitative-compar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managed the class as full inclusion on natural environment, family focused support, and team approach, based on prerequisite elements of early intervention. Second,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ir classe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showed not only advantages in low peer perception on disabilities, but also difficulties of achieving a high child vs. teacher ratio. They proclaimed stresses in providing assessment and counseling for parents of at-risk children under 3 years old in their classes. Third, participants tried to administrate the IFSP(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with a focus on family support, but felt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help and raising support at early identification stage of disabilities. Fourth, the team approach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rmed at the least level. Participants needed various external and professional supports for coping the need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proposals for revitalizing the present status and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for classes of children under 3 years old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379-002039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