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 판별 시 의사소통기능에서 일반적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이름에 반응하기(response to name)”, “응시하기(joint attention)”, “모방하기(imitation)” 기능의 특성과 역할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자폐범주성 장애선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두 가지 검사도구, Developmental Profile(CSBS-DP)과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ADOS) Module 1의 항목 중 위에 열거한 세 가지 지표 중심으로 분석하고 선별의 예(Matthew의 사례)를 첨부함으로써 그 지표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 결과, “이름에 반응하기”, “응시하기”, “모방하기”의 세 가지 지표는 자폐범주성 장애 조기 진단 및 선별, 그 이후에 연결되는 조기중재 결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hree indicat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which were “response to name”, “joint attention”, and “imitation”. There is a arrangement of social communication parameters hat are important early indicators of ASD, particularly deficits in three aspects listed above. In addition, the roles of these indicators in two popular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CSBS-DP) and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ADOS) Module 1, were analyzed with a case study of a boy. These scales have high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high validity among other popular tools for ASD screening. In the case, the boy was 24 months old and recently diagnosed as ASD. Using ADOS, his behaviors were observed and recorded. Based on the observation, he demonstrated deficits in areas of the three behaviors. A summary of the review suggests that these indicators still play important roles in diagnosis and assessment of ASD as well as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S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arly Indicators of ASD
Ⅲ. Assessment of Early Indicators of ASD
Ⅳ. Case Study: An Example
Ⅴ. Conclusions
References
한글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00-00109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