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암곰과 인간이 만나서 자식을 낳고 헤어지는 이물교혼의 모티프를 담고 있는 곰설화 중 자식이 죽지 않고 살아있는 자식생존형 곰설화를 중심으로, 해당 설화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설화를 통해 볼 수 있는 전승자들의 타자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사에서 언급되었던 곰나루형 민담과 달리 본고에서 소개한 자식생존형 곰설화는 서사의 흐름도 다를 뿐만 아니라, 설화의 갈래 상 민담에 포함될 수 없는 차이점을 보여주며, 이여송 설화와 결합된 것이 확인된다. 암곰과 남자가 결연을 맺는 모티프를 공유하는 곰설화와 비교했을 때, 암곰이 자식을 출산하는 자식생존형 곰설화는 암곰이 죽지 않는 것으로 형상화되는 것, 암곰의 자식이 살아남아 비범한 인물로 그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 암곰은 적극적으로 남자와의 결연을 추진하고 자연 내의 자신의 자리와 정체성을 버리지 않은 채로 남자와 분리된다. 이는 기존에 곰설화의 암곰이 자살을 하거나, 변신을 하는 등의 모습과 비교해 보았을 때, 설화의 전승자들이 암곰의 수성이 부정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여송, 이효식과 같이 구체적인 인물로 형상화되는 자식의 모습은 설화의 전승자들이 이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암곰의 자식은 태생적으로 수성과 인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데, 스스로 인성에 더 무게중심으로 두고 수성 중의 특정한 자질만을 긍정하는 형태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암곰의 자식이 인간 사회에서 배척되지 않고 위대한 장수나 일류선비로 자리 잡는 모습은 인간사회 내에서 나름의 자리를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설화의 전승자들이 자아와 타자의 차이점을 인정하되 서로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를 추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키워드

이물 교혼, 곰설화, 곰신화, 곰나루 전설, 이여송, 암곰, 타자

참고문헌(35)open

  1. [단행본] / 1988 / 한국구비문학대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 [학술지] 강영주 / 2013 / 동북아시아 곰 설화에 나타난 여성의 위상(位相) / 여성문학연구 (29) : 167 ~ 194

  3. [학술지] 강진옥 / 1990 / 구전설화의 이물교혼 모티브 연구 / 이화어문논집 11

  4. [학술지] 강헌규 / 2005 / 곰, 고마나루, 곰굴, 곰나루 전설 그리고 공주-어학적, 설화적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의 민속과 문화 10

  5. [학술지] 강헌규 / 1990 / 곰나루 전설 연구 / 웅진문화 2,3

  6. [단행본] 곽진석 / 2011 / 시베리아의 만주·퉁구스족 신화론 / 지식과 교양

  7. [학술지] 구중회 / 1991 / 곰나루설화의 성격과 그 해석 / 공주문화 1

  8. [학술지] 今村 鞆 / 1935 / 朝鮮の傳說-人獸交媾說話 4 (5)

  9. [단행본] 김균태 / 2000 / 설화와 역사 / 집문당

  10. [학술지] 김균태 / 1987 / 공주지역의 곰 전설고 / 한남어문학 13

  11. [학술지] 김영희 / 2000 / 아기장수이야기의 신화적 주제 탐색 / 구비문학연구 10

  12. [학술지] 김유미 / 2020 / 한국 설화에 나타난 곰의 문학적 형상화와 여성 - <곰나루>와 <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0) : 111 ~ 142

  13. [단행본] 김재용 / 1999 / 왜 우리 신화인가 / 동아시아

  14. [학술지] 김헌선 / 2005 / 동북아시아 곰신화 비교와 곰의례 연구 / 한국의 민속과 문화 10

  15. [학술지] 김혜정 / 2011 / {於于野談} 소재 <암곰과 함께 산 麟蹄縣 백성> 설화 연구 / 동양고전연구 (45) : 127 ~ 154

  16. [단행본] 김화경 / 1989 / 수여 성기열 박사 환갑기념논총 / 성기열 박사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7. [단행본] 김화경 / 2002 / 전설과 지역 문화 / 민속원

  18. [단행본] 리처드 커니 / 2004 / 이방인, 신, 괴물 / 개마고원

  19. [단행본] 박연옥 / 1994 / 중국의 소수민족 설화 / 학민사

  20. [학술지] 서유석 / 2021 / 동북아시아 곰-인간 교혼설화에 나타나는 모친살해의 의미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 : 5 ~ 40

  21. [학술지] 신동흔 / 2002 / 구전 이야기의 갈래와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비교민속학 22

  22. [단행본] 울릉군지편찬위원회 / 1989 / 울릉군지 / 울릉군

  23. [단행본] 유증선 / 1971 / 영남의 전설 / 형설출판사

  24. [학술지] 윤용혁 / 1979 / 공주지방 곰신앙 자료의 일정리 –백제시대의 웅신숭배- / 호서사학 7

  25. [단행본] 이용범 / 2009 / 동북아 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 동북아역사재단

  26. [학술지] 이은숙 / 2000 / 이여송 설화의 구조와 전승의식 고찰 / 한국언어문학 34

  27. [단행본] 이정재 / 1997 / 동북아의 곰문화와 곰신화 / 민속원

  28. [단행본] 이평래 / 2009 / 동북아 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 동북아 역사재단

  29. [학술지] 임철호 / 1983 / 이여송 설화 연구 / 국어국문학 90

  30. [단행본] 조재훈 / 2002 / 전설과 지역문화 / 민속원

  31. [학술지] 조현설 / 2004 / 세 신화 세 현실 / 겨레어문학 33

  32. [학술지] 조현설 / 1999 / 웅녀, 유화 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 구비문학연구 9

  33. [학위논문] 千惠淑 / 1987 / 傳說의 神話的 性格에 관한 硏究

  34. [학술지] 최래옥 / 1982 / 현지조사를 통한 백제설화의 연구 / 한국학논집

  35. [학술지] 최원오 / 2014 / 동물/인간의 경계와 욕망, 그리고 변신-한국과 북미 원주민 구전설화에서의 동물신부를 중심으로- / 비교민속학 (53) : 263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