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웹툰《가담항설》의 고전 시가/운문 활용방식에 대한 검토

A Study of Premoder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Webtoon Kadamhangsŏl

한국학논집
약어 : -
2019 no.76, pp.221 - 270
DOI : 10.18399/actako.2019..76.007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18 회 열람

본고는 웹툰《가담항설 : 길 위의 노래》가 고전 시가/운문 콘텐츠를 활용한 방식을 검토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작품 속 세계에서의 언어와 문학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고전 시가/운문 작품이 활용된 방식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검토하고 그 의의에 대해 밝혔다. 《가담항설》의 고전 시가/운문 활용은 작품 속 세계의 설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가담항설》속 세계는 언어와 문학, 말과 글이 직접적인 물리력을 발휘하는 곳이다. 압축되고 정제된 언어는 현 상태를 변화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며, 글을 이해하고 창작하는 능력은 각인을 새기거나 결계를 운용하는 힘과 연결되어 인물의 능력치를 결정한다. 《가담항설》의 고전 시가/운문 활용방식은 다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주술적 효력을 발휘하는 정제된 언어로서 시가/운문 작품이 활용된 예이다. 인용된 작품들에 나타난 화자의 ‘염원’이 무엇인지에 주목하여 각 작품의 용도가 결정되며, 함축적이고 비유적인 방식의 언어가 강력한 힘을 갖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두 번째는 서사를 강화하는 장치로서 활용된 사례들이다. 인용된 작품들은 특정한 맥락에 배치되어 인물의 심리를 상징하는 기능을 하거나, 인물의 내적 변화를 보여주면서 본래의 시어가 갖는 의미의 폭을 확장하고 있다. 마지막 세 번째 방식은 작품의 설정 및 주제의식, 즉 언어와 문학의 힘과 역할을 보여주기 위해 고전시가 작품을 인용한 것이다. 《가담항설》의 고전 콘텐츠 활용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언어와 문학의 힘’이라는 이야기의 기본 전제가 인용한 시가/운문 작품들과 긴밀히 결합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두 번째 의의는 교과과정을 통해 널리 알려진 시가/운문 작품을 대상으로 하면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작품들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작품을 변개하거나 무리한 해석을 시도하지 않고서도 서사의 맥락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서사를 강화하고 주제의식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가담항설》은 대중예술이 고전 콘텐츠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본고의 분석이 고전 시가/운문 콘텐츠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고전 콘텐츠의 활용이 대중예술 작품의 독창성과 완성도를 제고하는 데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답안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premoder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Korean webtoon Kadamhangsŏl (Alleyway Rumors) and their significance. It first observes the role literature and language play in its world, and then dives into the significance of Kadamhangsŏl by examining specific examples of the poetry used in this piece. Premoder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is an integral element of the series’ world, wher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oral and written word, carry significance weight. Brief and refined language has the power to change one’s state, while the ability to create and comprehend text is linked to carving seals and creating defenses. Thus, these abilities end up in deciding the power of the series’ characters. The use of premoder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poetry is used as examples of refined language imbued with powerful magic. Poems and verses are quoted based on the ‘desires’ of the speakers in the texts, with their concise and metaphorical style carrying great power. Second, these texts are used as plot devices, with the quoted examples often representing the characters’ mindsets or character development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meaning. Third, the texts are used to show the power and role language and literature play in the setting and theme of the series. The use of classical literature by the series is significant due to the following: first, the quoted texts are deeply tied to the basic premise of the ‘power of language and literature’. Second, it uses them effectively by quoting texts widely taught in school curricula. It does not change the texts nor make wild interpretations of them, using them according to the context to strenghthen the series’ plot and themes. As a piece of popular art, Kadamhangsŏl is an interesting example of using classical content. This study’s analysis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such content, while also demonstrating how classical content can raise the quality and distinctiveness of popular art.

《가담항설》, 웹툰, 고전시가, 시가/운문, 고전 콘텐츠
Kadamhangsŏl, webtoon, premoder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classica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