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삼국 가운데 신라는 지정학적으로 한반도 동남부에 고립되어 있어서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적인 영향이 적고 문화가 낙후한 편이었다. 신라가 상대적으로 발전이 늦었던 점은 오히려 신라 고유의 사상과 문화적 성향이 강한 색채를 띠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점은 신라 서예의 고유성 내지는 독창성 형성과 유관하다. 즉, 문자체계가 다양하고 서사행위 또한 신라인들만의 독특한 미감을 형성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현전하는 6세기 신라 금석문의 서체는 자형과 필치가 여유롭고 소박한 경향을 보이는데, 치졸할 정도로 비균제성이 강하다. 이러한 초기의 서풍이 7세기 초반까지 계통성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신라의 원형적 문자조형미감이 두드러진다. 신라의 글씨는 육안으로만 보더라도 세련된 기교나 정제미 등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예측불허의 변화무쌍한 원필圓筆의 필획, 천진天眞한 자형과 서사풍격 등이 동한東漢 이후 통용되던 예서․해서․행초서의 문자조형과도 차이가 있다. 각 비문의 글씨는 제각각 개성이 두드러지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형성이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일관된 신라 글씨만의 독특한 필획과 풍모가 임리淋漓되어 있다. 즉, 자형과 서체가 각 석비마다 일률적이거나 정형화되지 않으면서도 시대를 막론하고 전반적으로 고졸한 금석기金石氣, 기하학적 회화성, 비정형의 변화성 등이 두드러진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석비 형식과 전체의 질서에 위배되지 않는 조화로운 결구와 장법을 이룬다. 부정형의 자연석에 쓰고 새겨졌기 때문에 신라의 글씨가 유독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요소가 강한 점도 있겠다. 하지만 무엇보다 부정형의 석비와 그에 따른 자연스러운 서체미학을 형성한 연유는 신라인들의 심미의식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신라 서예의 개성은 우리민족의 삶의 터전인 국토산하와 그 속에서 살아가며 형성된 심미의식의 자연스러운 발현인 것이다. 그러한 심미의식의 근원은 곧 ‘풍류風流’사상에서 비롯된다. 풍류는 인간이 자연과 일체적 조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유를 지향했던 신라인들의 글씨, 그들의 문자미감 속에는 유․불․도 3교를 아우르면서 그것마저도 초월하는 민족고유의 미감이나 사상적 원형이 뚜렷하였던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일체적 조화를 추구하는 풍류정신이 서예의 인식기반으로 작용할 경우, 인간―자연―서예를 유기체적 관점에서 서예의 생명적 근원은 자신이 살아가는 자연 속에 있음을 체감하고, 그 자연과 서예를 합일시키려는 심미활동으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특히 신라 서예는 필획, 결구, 장법의 무기교성과 무의도성이 강하다. 그래서 신라의 글씨는 무기교성․무의도성 등 자연에로의 귀결점을 삼는 심미정서의 결정체이다. 때문에 신라의 서예는 ‘선善’이나 ‘미美’ 등의 상대적 개념을 초월한 ‘진眞’의 반영물이라 하겠다. 즉, 풍류를 지향하는 민족정서와 토속적 원시미감의 근원을 신라의 서예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서예를 ‘상진尙眞의 미학’이라 규정할 수 있겠다.

키워드

신라 서예, 신라 금석문, 금석기, 기하학성, 비정형성, 비균제성, 무기교성, 무의도성, 천진, 풍류, 상진尙眞

참고문헌(22)open

  1. [기타] / 隋書

  2. [기타] / 梁書

  3. [기타] / 1997 / 歷代書法論文選上․下 / 華正書局

  4. [단행본] 金富軾. / 刊年未詳. 三國史記 / 景仁文化社

  5. [학술지] 고광의 / 2004 / 5~6세기 신라 서예에 나타난 외래 서풍의 수용과 전개 / 서예학연구 (4)

  6. [단행본] 김광욱 / 2009 / 한국서예학사 / 계명대학교출판부

  7. [학술대회] 김남형 / 2015 / 조선후기 서론의 특성에 대한 시고 . 물질에서 정신으로 / 제10회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기념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8. [학술지] 김병기 / 2005 / 한국 서예의 독창성 탐색과 세계화 전략-전라북도 주관 '세계서예 전북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2) : 233 ~ 310

  9. [단행본] 김수천 / 2001 / 동아시아문화와 사상 제7호 / 열화당

  10. [학술지] 김수천 / 2006 / 고신라 서예문화의 고찰 / 동양예술 (11)

  11. [학술지] 김형효 / 1975 / 삶의 세계와 한국사상사의 진리 / 한국학보 2

  12. [단행본] 劉綱紀 / 1997 / 易學與美學 / 沈陽出版社

  13. [단행본] 李丙燾. / 1959 / 韓國史 - 古代篇 / 을지문화사

  14. [단행본] 李三晩. / 2002 / 서예비평 / 한국서예협회

  15. [단행본] 이완우 / 1998 / 삼국의 문화 – 서예 . 한국사 8 / 국사편찬위원회

  16. [학술지] 장지훈 / 2007 / 漢代 書論의 서예미학적 분석 / 서예학연구 (11)

  17. [학술대회] 장지훈 / 2014 / 예술의전당 <최치원 - 風流誕生>展 짚어보기 / 한국서예 비평학회 제15회 추계학술회의 발표자료집

  18. [학술지] 정현숙 / 2015 / 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일관성 고찰 / 서예학연구 (27) : 5 ~ 50

  19. [학술지] 주보돈 / 1998 / 朴堤上과 5세기 초 신라의 정치 동향 / 경북사학 21

  20. [단행본] 주보돈 / 2000 / 한국 서예 이천년 특강 논문집 / 예술의전당

  21. [단행본] 진홍섭 / 2006 / 한국미술사 / 문예출판사

  22. [단행본] 홍기문 / 1957 / 리두연구 / 과학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