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정약용의 학문은 그가 살았던 현실의 모순에서 생성되었고,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완성되었다. 이 연구는 정약용의 현실 모순에 대한 인식에서 그의 학문이 잉태되고 체계화되어 가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당대 현실에 대한 그의 인식은 그가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지방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적발하고 처벌하는 과정에서구체화되었다. 그의 현실인식은 이후 그가 곡산의 수령(지방관)으로 파견되어 지방행정을 담당하면서 더욱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그는 이 시기에 그 인식에 근거해 국왕의요청에 부응해 토지제도와 농정 개혁안을 입안하였다. 정약용의 사회모순과 그 개혁에 대한 인식은 1801년 천주교 박해사건을 계기로 큰전환을 맞는다. 그가 개혁군주로 믿고 따랐던 정조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정조의 개혁정책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이 박해사건으로 그의 형제들은 처형되었고, 그는 18 년간 유배형을 받는다. 그는 정조의 죽음으로 개혁 주체가 소멸하자 당대 조선에 가장절실한 과제는 개혁주체를 형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는 유생층의 학문 방식을 유학본래의 정신에 충실하도록 개혁함으로써 개혁 주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것이 그의 경학 연구의 문제의식이었다. 그는 유교경학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유학의 해석체계를 수립하였다. 이 작업이 이루어지자 이어서 그는 이를 토대로 당대의 사회모순을 전면적으로 개혁할 국가개혁안을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였다. 그 개혁안이 일표이서㊀表二書였다. 그는 새로운 학문론에 의거해 관료가 된 이들이주체가 되어 일표이서의 개혁안을 실행하면 멸망 위기에 있는 조선을 혁신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하였다. 유배에서 풀려난 후 그는 자신의 새로운 학문과 개혁안을 집권세력에 전파하려 노력하였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키워드

정약용, 경학, 경세론, 개혁주체, 유교개혁

참고문헌(17)open

  1. [단행본] / 1982 / 與猶堂全書 / 경인문화사

  2. [단행본] / 1968 / 윤치호일기 / 국사편찬위원회

  3. [학술지] 금장태 / 2000 / 다산경학의 탈주자학적 세계관 / 다산학 1

  4. [학술지] 금장태 / 2001 / 다산공부론의 유학사적 위치 / 다산학 2

  5. [학술지] 금장태 / 2005 / 다산의 인개념의 인식과 실천 / 다산학 (7) : 7 ~ 50

  6. [학술지] 김용섭 / 1972 / 18,9세기의 農業實情과 새로운 農業經營論 / 大同文化硏究 9

  7. [학술지] 김용흠 / 2012 / 다산의 국가 구상과 정조 탕평책 / 다산과 현대 4

  8. [학술지] 김인규 / 2002 / 다산 정약용의 학문관-5학론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 17

  9. [단행본] 박석무 / 2014 / 다산 정약용 평전 / 민음사

  10. [단행본] 박종천 / 2008 / 다산 정역용의 의례이론 / 신구문화사

  11. [학술지] 박홍식 / 2010 /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 다산학 (17) : 45 ~ 93

  12. [학술지] 백민정 / 2012 / 다산 경학사상 연구의 의의와 현황 / 다산과 현대 4 (5)

  13. [단행본] 송재소 / 1986 / 茶山詩 硏究 / 창작과 비평사

  14. [학술지] 이우성 / 2000 / 다산의 경학과 경세학의 관계 / 다산학 1

  15. [단행본] 정일균 / 1999 / 다산 사서경학 연구 / 일지사

  16. [학술지] 정일균 / 2012 / 1950/60년대 ‘근대화’와 다산호출 / 다산과 현대 4

  17. [학술지] 조성을 / 2002 / 다산의 학문관 / 경기사학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