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공연예술 양식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관객층을 확보하고 있는 장르가 뮤지컬일 것이다. 뮤지컬의 인기는 우리 공연시장에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고, 이제 ‘국악뮤지컬’이라는 또 다른 뮤지컬 장르가 등장하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국악뮤지컬’은 용어 그대로 ‘국악’과 ‘뮤지컬’이 합해진 말이다. 그러나 ‘국악뮤지컬’은 아직 확실한 개념으로 장르를 정의하기에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애초에 국악뮤지컬이라는 용어 자체가 장르적 성격을 규정하는 명칭이라기보다는 마케팅 용어에 가깝게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대중에게 인기가 없었던 ‘국악’에 ‘뮤지컬’을 더하여 일반 관객들의 시선을 끌었지만, 아직 양식정립이 되지 않아 지금도 창극과 같은 타 장르와의 경계가 모호하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국악뮤지컬이라 불리는 작품들의 특징을 보면, 우선 음악과 드라마가 있는 공연으로, 여기서 음악은 ‘국악’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사용된 국악의 종류는 판소리와 민요가 주로 활용되며, 반주음악으로 국악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국악뮤지컬집단 타루’를 중심으로 실험양상들을 살펴보았는데, 타루의 작품뿐 아니라 현재 국악뮤지컬이라 불리는 작품들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하고 있다. 극의 음악은 물론, 악기사용, 무용, 연기, 극의 소재, 무대 등 모든 공연적 요소들을 망라하여 실험을 거듭하고 있지만, 국악뮤지컬을 가장 잘 보여지게 하는 것은 역시 음악과 소리(唱)다. 특히 북 뮤지컬이 주를 이루는 우리 뮤지컬 현황에서 소리의 역할은 매우 크다. 소리의 수용과 변용에 대해 절대적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창작판소리다. 창작판소리는 기존의 판소리가 아닌 새로운 가락, 새로운 가사로 작창을 하기 때문에 현재의 이야기를 담고, 또 쉬운 가사전달로 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스타일은 자연스럽게 악기편성에도 다양화를 가져와 한국 전통 악기는 물론, 기악 합주, 오케스트라, 재즈 밴드 등 음악의 편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국악뮤지컬에서 창작곡이 많이 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전문 작곡과 작창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또한 소리꾼과 작가는 물론 연출, 조명, 음향 등 스텝들도 필요하다. 즉 전 영역에서 전문 창작방식이 도입될 수밖에 없다. 그 외 도창(導唱)이나 코러스의 활용, 판소리에 무게를 두는 방식 등 우리 소리와 전통적 요소에 바탕을 둔 작품들도 많고 그 성과도 많이 이루어냈다. 그러나 국악뮤지컬은 앞으로 수없이 많은 논의와 실험이 더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배우의 역할과 변화, 그리고 배우의 양성 등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관객들의 반응이 좋다는 점이다. 국악뮤지컬은 열린 장르이다. 뮤지컬이 성격에 따라 여러 갈래로 구분되듯이 국악뮤지컬도 형상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그 특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국악뮤지컬, 소리, 실험, 창작판소리, 타루

참고문헌(41)open

  1. [단행본] 곽동근 / 2008 / 타루, 지금 우리를 노래하다 / 예니

  2. [학위논문] 곽병창 / 2000 / 한국현대연극의 전통연희 계승양상 연구

  3. [단행본] 구히서 / 1999 / 극단 민예, In 연극읽기 1970-1979 / 메타

  4. [학술지] 김성희 / 2001 / 한국초창기 뮤지컬운동 연구 / 한국극예술연구 14

  5. [학위논문] 김재석 / 1999 /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전통문화의 존재양식 : 탈춤과 마당극을 중심으로

  6. [학위논문] 김종희 / 2009 / 한국 창극의 실험성 연구

  7. [단행본] 김학민 / 2005 / 뮤지컬 양식론 / 경희대학교 출판부

  8. [기타] 김학민 / 2003 / 뮤지컬 특징은 다양한 장르의 결합 / 동아일보

  9. [기타] 맥클린턴 / 2003 / 뮤지컬의 문화적 기여와 매력, In 연극의 이론과 비평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10. [학술지] 박미경 / 2008 / 창작국악, 그 문화현상이 보여주는 스펙트럼 / 음악과 문화 0 (18) : 5 ~ 20

  11. [단행본] 서연호 / 2004 / 한국현대희곡사 / 고려대학교 출판부

  12. [인터넷자료] 손태도 / 문화저널

  13. [단행본] 유민영 / 1984 / 극단 民藝와 民族劇, In 傳統劇과 現代劇 / 단국대출판부

  14. [학위논문] 유인경 / 2006 / 한국 뮤지컬의 형성과 전개 연구 : 1960~70년대 공연작을 중심으로

  15. [학술지] 윤중강 / 2007 / 괄목상대할 젊은이여, 이제 세계를 상대하라 / 문화+서울

  16. [학술지] 정병헌 / 2007 / 창극과 마당극의 판소리 수용 양상 / 한국어와 문화 2

  17. [기타] 정성훈 / 2003 / 전통음악의 크로스오버와 창작국악 / 연세음악연구소

  18. [학술지] 조운조 / 2003 / 창작 국악의 시대적 흐름과 악기편성의 문제 / 공연예술저널

  19. [학술지] 정혜원 / 2007 / 우리 소리, 우리 뮤지컬을 향해서 / 문화+서울

  20. [학술지] 최승연 / 2005 / 서울예술단의 뮤지컬 <심청> 연구 / 판소리연구 (19) : 141 ~ 179

  21. [학술지] 최치림 / 1995 /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er)의 공간에 관한 연구 / 중앙대 창론 (14)

  22. [학술지] 한상철 / 1979 / 한국연극 10년, 그 의의 / 연극평론 (겨울)

  23. [학술지] 황병기 / 2004 / 현대 국악의 방향 / 藝術院報 (48)

  24. [단행본] Richard Kislan / 1995 / The Musical / Applause

  25. [단행본] / 국악사전

  26. [단행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예연감

  27. [기타] / 2008 / 국민일보

  28. [기타] / 2003 / 동아일보

  29. [기타] / 2008 / 서울신문

  30. [기타] / 2000 / 세계일보

  31. [기타] / 2003 / 세계일보

  32. [기타] / 2003 / 스포츠조선

  33. [기타] / 2011 / 인터넷뉴스 신문고

  34. [기타] / 2001 / 한겨레신문

  35. [기타] / 2009 / 헤럴드경제

  36. [기타] / 타루 공연팜플릿 및 공연대본

  37. [인터넷자료] / http://www.arko.or.kr/

  38. [인터넷자료] / http://home.ebs.co.kr/reviewL

  39. [인터넷자료] / http://blog.naver.com/ntok2010/70130918822

  40. [인터넷자료] / http://www.taroo.com

  41. [인터넷자료] / http://www.spac.or.kr